'자발적 탄소시장' 탄소감축에 기여할까?...기업 67% "그렇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7 12:00:03
  • -
  • +
  • 인쇄
대한상의, 1000대 기업대상 인식조사

자발적으로 탄소를 감축한 실적을 거래하는 자발적 탄소시장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소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탄소시장은 국제기구나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하고 배출권의 과·부족분을 거래해 목표를 지키도록 하는 '규제 시장'(Compliance Market)과 기업·지자체·개인 등이 자발적으로 감축사업을 추진해 발생한 감축실적(Credit)을 거래하는 '자발적 탄소시장'(Voluntary Market)으로 구분된다.

현재 전세계 자발적 탄소감축 성과는 2018년 1억6600만톤에서 2021년 3억6600만톤으로 매년 30%씩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자발적 탄소감축 인증기관으로는 미국의 베라(Verra)와 스위스의 골드 스탠다드(Glod Standard) 등이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국내기업의 자발적 탄소시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66.8%가 자발적 탄소시장이 탄소감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답했다.

기업이 기대하는 자발적 탄소시장의 역할은 '감축 활동에 대한 정당한 평가'(46.3%)가 가장 많았고, 현재 운영 중인 배출권거래제 시장인 '규제 시장의 보완적 수단'(40.6%), '기후테크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 창출'(7.0%), '친환경 투자 유도'(6.1%) 순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기업의 탄소감축 책임 범위가 사업장 내 직접배출(스코프1)에서 간접배출(스코프2), 기타간접배출(스코프3)까지 확대되면서 사회 전 분야에서 다양한 감축활동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대상 기업은 규제 범위(스코프1·2) 외 추가적인 감축활동에, 중소기업 같은 비대상 기업은 모든 감축활동에 대한 신뢰성 있는 인증을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기업의 40%는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해 탄소 감축제품·기술·서비스 개발 및 판매 까지도 감축실적으로 인정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현재 제도에서는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가 초저전력반도체를 개발·판매해 전력소비와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더라도 감축실적으로 인증받기 어렵다. 오히려 초저전력반도체 제조에 따른 추가 공정으로 온실가스 부담은 더 증가하는 상황이다.

박호정 고려대학교 교수는 "기업들이 탄소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드론, 사물인터넷(IoT), 통합발전소(VPP)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탄소감축에 기여하고 있다"며 "경직된 규제시장에 대한 보완적 수단으로 자발적 시장을 통해 다양한 감축활동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면 사회 전반에 탄소감축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이 감축실적을 인증받길 원하는 이유로는 '탄소중립 달성'(45.0%)과 'ESG 활동 홍보'(43.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상쇄배출권 확보'(26.2%), '국제 이니셔티브 참여 및 대응'(17.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 지원과제로는 '배출권거래제 연계'(35.8%)가 가장 많았고, 이어 '국가 감축목표(NDC)와의 연계'(28.4%), '자발적 탄소시장 운영지침 마련 등 신뢰성 확보'(21.8%) 등으로 조사됐다. 반면, 자발적 시장의 독립성 유지를 위해 '민간 주도 시장 운영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은 14.0%였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월 기업의 자발적 탄소감축 활동을 평가해 감축성과를 인증할 목적으로 대한상의 탄소감축인증센터를 설립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앞으로 기업이 탄소감축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자발적 탄소시장 확대가 필수적"이라며 "대한상의는 정부, 전문가, 업계, NGO 등과 협력해 신뢰성 있는 인증센터를 구축하고 한국을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의 중심으로 성장시켜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