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얼음 8조톤 녹았다'..."이 속도로 녹으면 금세기말에"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21 17:03:28
  • -
  • +
  • 인쇄
국제연구팀 50개 위성데이터 분석결과
정육면체로 만들면 한변 20km에 달해
▲20일(현지시간) 국제연구팀 '빙상 질량 균형 상호 비교 연구'(IMBIE)가 남극 대륙과 그린란드 빙상을 관측한 50개의 위성사진을 토대로 얼음의 이동속도와 고도를 측정한 결과를 공개했다. (사진=NASA)


지난 30년간 녹은 빙상의 무게가 7조5600억톤에 달하고, 소실된 얼음을 정육면체로 만들면 각 변의 길이가 20km나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섬브리아대학교 극지 관측·모델링센터가 이끄는 국제연구팀 '빙상 질량 균형 상호 비교 연구'(IMBIE)가 남극 대륙과 그린란드 빙상을 관측한 50개의 위성사진을 토대로 얼음의 이동속도와 고도를 측정한 결과, 1992~2020년 지구온난화로 소실된 빙상의 무게가 7조5600억톤에 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빙상'은 면적이 5만㎢ 이상의 거대한 빙하 얼음덩어리를 말한다. 지구상에서 가장 큰 빙상은 면적이 1397만㎢에 달하는 남극 빙상이다. 남극 빙상에 이어 2번째로 큰 그린란드 빙상은 그린란드 면적의 약 80%를 차지하는 초거대 빙상이다. 이들 빙상에서 사라진 얼음을 큐브 형태로 만들면 한 변의 길이가 12마일(약 19.3km)가량 될 것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들 빙상에 더해 전체 극지방에서 손실된 얼음의 무게는 총 8조3000억톤에 달한다. IMBIE의 데이터는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등의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유럽 우주국(ESA)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결과'라고 강조하며 사태의 심각성을 우려했다.

실제로 극지방의 얼음은 1990년대와 비교했을 때 훨씬 빠르게 녹고 있다. 6120억톤의 빙상이 소실돼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2019년을 포함해 가장 많은 극지방 얼음 손실이 발생한 일곱번의 해는 지난 10년 사이에 포진돼 있다.

극지방 얼음 손실은 해수면 상승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해수면은 바닷물이 따뜻해지면서 바다의 부피가 커지거나, 육지에 있는 담수가 바다로 이동하는 등 여러 요인이 있지만, 점차 극지방 얼음이 녹아내리면서 해수면 상승에 끼치는 영향이 더 커지고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남극 빙상과 그린란드 빙상에서 소실된 7조5600억톤의 얼음은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수면을 각각 13.5mm, 7.4mm씩 총 21mm를 상승시켰다. 이처럼 극지방 얼음의 해수면 상승 기여도는 꾸준히 늘어 1990년대 초반 해수면 상승에서 차지한 비중이 5.6%였지만 현재는 25.6%로 높아졌다.

IPCC는 남·북극 빙상이 지금과 같은 속도로 계속 감소하면 금세기말까지 전세계 평균 해수면 높이가 148~272mm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이번 연구논문의 주요 저자인 영국 리즈대학교 이네스 오토사카 박사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이처럼 극지 빙상이 녹는 속도가 빨라지면 해안지역 주민들을 비롯해 전세계에 홍수와 해안침식으로 인한 중대한 피해와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탄탄한 예측치를 기반으로 극지방 얼음에 의한 해수면 상승폭 예측기반을 탄탄하게 다져놓지 않으면 피해 완화를 위한 대응정책을 계획하는 것에서부터 난관에 부딪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논문은 20일(현지시간) 과학저널 '지구시스템 과학 데이터'(Earth System Science Data)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기후/환경

+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