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북극해빙 2030년대 완전히 사라진다..."예상보다 10년 빨라"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6-07 11:03:26
  • -
  • +
  • 인쇄
포항공대-함부르크대학 공동연구팀 연구결과
완전한 탄소중립 이뤄도 잔류 온실가스에 영향

여름철 북극 해빙이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진 2030년대에 모두 사라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포항공과대학과 독일 함부르크대학으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탄소배출량이 천천히 감소하거나 계속 증가한다면 기존 예측보다 10여년이 빠른 2030년대에 여름철 북극 해빙이 소멸되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며, 완전한 탄소중립을 실현한다고 해도 지구에 남아있는 온실가스의 영향으로 2050년대에 여름철 북극 해빙은 사라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배출량을 급격히 줄이고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2℃로 제한하면 북극의 여름철 해빙을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협의체(IPCC) 예측과 상반되는 결과다. 

연구팀 일원인 함부르크대학 지구공학 및 지속가능성센터의 더크 노츠(Dirk Notz) 교수는 "안타깝게도 북극의 여름철 해빙을 구하기에는 너무 늦었다"며 "북극 해빙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우리가 잃게 될 지구환경 체계의 첫번째 주요 구성요소"라고 말했다. 그는 "과학자로서 우리는 수 십년동안 북극 여름 해빙의 손실에 대해 경고해 왔지만 사람들은 우리의 경고를 듣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노츠 교수는 "북극 해빙의 붕괴는 수 십년 동인 지구환경 체계에 연속적으로 악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했다.

북극 해빙은 최근 수십년간 지구 기온이 상승하면서 모든 계절에 걸쳐 빠르게 감소해 왔으며 2000년 이후 감소폭이 더욱 커졌고, 2021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연구팀은 먼저 태양의 강도 변화 및 화산 배출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인간에 의한 온실가스 증가가 해빙 용해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다중 기후모델 시뮬레이션을 했다. 노츠 교수는 "손실되는 해빙의 90%는 인간이 초래한 지구온난화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활용해 미래의 해빙을 모델링했다. 1979년부터 2019년까지 북극의 해빙 관측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모델이 해빙 속도를 과소평가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에 따르면 1979년 위성기록이 시작된 이래로 여름철 북극의 해빙은 10년에 13%씩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관측치와 일치하도록 모델을 보정한 결과, 저배출 시나리오에서도 얼음이 더 빨리 녹고 얼음이 없는 여름을 예상할 수 있었다"며 "중간 및 고배출 시나리오에서는 8월과 10월에도 2080년경에는 얼음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북극 해빙 감소는 온난화를 더욱 가속시켜 지구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위도 지역의 폭염과 가뭄같은 이상기후 발생 빈도를 높이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더 빨리 녹으면 얼음이 녹아 노출된 어두운 바다가 태양으로부터 더 많은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는 악순환을 초래한다"며 "제트기류를 약화시키고 북미, 유럽 및 아시아에서 더 극심한 기상 현상을 초래한다"고 우려했다. 

민승기 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는 "북극 해빙의 붕괴는 폭염, 산불, 홍수 등 현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극한 기상이변의 증가가 될 것"이라며 "우리는 더 야심차게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더 빠른 북극 온난화와 인간 사회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적응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극의 온난화로 인해 그린란드 만년설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영구 동토층이 녹아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해당 연구는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미국 콜로라도 볼더대학교 국립설빙데이터센터(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at the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의 마크 세레즈(Mark Serreze) 교수는 "핵심 메시지는 늦여름에 북극의 해빙이 거의 사라질 운명이라는 것이다"며 "다만 정확한 시기는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IPCC 보고서 개요에 韓 입장 반영

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