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 의원 "대한민국 NDC, 국제기준에 크게 못미쳐" 질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10-27 16:02:44
  • -
  • +
  • 인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국가 (사진=한국경제인협회)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27일 환경부를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대한민국의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NDC)가 매우 부적정한 수준이라고 질타했다. 대한민국 NDC가 5가지 이유에서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감축 기준에 한없이 부족하다는 꼬집었다.

첫번째 이유로 전세계 평균 감축경로와 대한민국의 감축목표를 비교했다.

최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제6차 평가보고서를 통해 전지구적 목표인 1.5℃ 온도상승 제한을 위해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43%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2019년 기준 대한민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7억137만톤으로 IPCC의 기준에 따라 2030년에는 3억9978만톤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NDC는 2030년 4억3600만톤을 목표로 하고 있어 부적정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두번째로 전세계적 목표 기준에서도 우리나라 목표치는 부적정하다고 지적했다. 유엔환경계획(UNEP)의 '2022 배출격차 보고'는 모든 국가의 NDC가 이행되더라도 지구 평균온도를 2.6℃까지 상승시킬 것이라 평가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NDC는 IPCC가 제시한 평균 감축경로에 미치지 못해 배출격차 발생에 기여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세번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가별 온실가스 감축 수준과 비교해도 우리나라 목표치는 부적정하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 처음으로 NDC 목표를 제시하고 감축정책을 마련한 2010년을 기준으로 OECD 국가들의 NDC와 비교하면, 대한민국은 2023년까지 29%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수준이다. 이는 미국 47%, EU 48%, 일본 42%, 호주 44%, 캐나다 37%, 뉴질랜드 47% 등 다른 나라 감축률과 비교하면 크게 떨어진다.

네번째로 기후행동추적(Climate Aaction Tracker, CAT)이 통합평가모델로 도출한 대한민국에 대한 평가도 제시됐다. CAT는 대한민국 NDC 자체가 3℃까지 온도 상승을 야기할 수 있는 '부족' 수준이고, 현재 정책과 노력은 4℃ 까지 온도 상승을 야기할 수 있는 '매우 부족'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CAT는 대한민국이 1.5 ℃ 온도 상승 제한을 위해 현재 목표보다 25% 이상 추가 감축한 3억2500만톤을 감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탄소예산 분배 측면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탄소예산은 인류가 특정 온도 상승까지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의 총량을 뜻한다. IPCC의 제6차 평가보고서 실무그룹1은 2020년 기준 온도상승을 1.5℃로 제한할 수 있는 50% 확률의 탄소예산으로 5000억톤을 제시했다. 이 예산을 2019년 대한민국 인구에 따라 분배할 경우 33억5000만톤을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된다. 그러나 현재 대한민국의 배출량과 목표 등을 고려하면 1.5℃ 탄소예산은 2026년에 모두 소진될 것으로 예측된다.

박정 의원은 "세계적 기준 대비 대한민국 NDC는 매우 부적정한 수준이며, 이대로면 기후위기를 앞당겼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IPCC가 지적한대로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얼마없기 때문에 탄소중립기본법의 주무부처인 환경부가 책임 있는 자세로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한편 박정 의원은 이날 '기후환경단체 플랜 1.5'와 함께 '대한민국 NDC의 문제와 개선방안'을 주제로 한 '국정감사 정책자료집'을 내놓았다. 특히 종이없는 국정감사 실천을 위해 QR코드 자료집을 배포해 눈길을 끌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혼합금융·전환금융...점점 다변화되는 녹색금융 시장"

국제 전문가들이 "녹색국가를 이루려면 녹색금융이 필요하다"며 "지속가능한 투자의 목적, 방향, 결과 및 영향에 대해 정확히 분석하고, 이것이 실무로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기후/환경

+

"혼합금융·전환금융...점점 다변화되는 녹색금융 시장"

국제 전문가들이 "녹색국가를 이루려면 녹색금융이 필요하다"며 "지속가능한 투자의 목적, 방향, 결과 및 영향에 대해 정확히 분석하고, 이것이 실무로

"범위로 할꺼면 목표는 왜 설정?"...정부 성토장된 '2035 NDC' 공청회

11월까지 유엔에 제출해야 하는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확정하기 위한 6일 열린 마지막 공청회에서 감축률을 놓고 격론이 벌어졌다. NDC를

EU, 2040년까지 온실가스 90% 감축 합의…2년마다 목표 재평가

유럽연합(EU)이 204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1990년 대비 최소 90% 감축한다는 목표에 합의했다.EU 27개국 환경장관들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20시간 넘게 이

COP30 앞두고 ‘아마존강 시위’… 원주민들 "우리가 기후증거이자 경고"

브라질 아마존의 관문 도시 벨렘이 오는 10일(현지시간) COP30 개막을 앞두고, 원주민과 시민들이 기후정의를 외치며 강 위 시위에 나섰다.5일(현지시간)

'최소발전용량' 낮췄더니 비용절감에 탄소감축 '일석이조' 효과

화력발전소의 가동을 보장해주는 '최소발전용량'(MG)을 줄일 경우 비용절감과 탄소감축까지 일석이조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기후솔루션이

정부 '2035 NDC' 2개안으로 압축...6일 마지막 공청회 개최

정부가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감축안으로 4개에서 2개안으로 좁히고 6일 마지막 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정부가 이날 공청회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