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성장에 '탄소폭탄' 맞은 빅테크들...탄소줄이기 해법은?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2-26 16:06:55
  • -
  • +
  • 인쇄


인공지능(AI) 사용이 광범위해지면서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종전의 넷제로 계획으로 데이터센터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해당업체들은 데이터센터의 재생에너지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엔비디아(Nvidia)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는 "AI가 티핑포인트에 도달했다"면서 "데이터센터 비용은 5년 내 2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클라우드 컴퓨팅·데이터센터 관리업체인 사이러스넥서스(Cirrus Nexus)의 크리스 노블(Chris Noble) CEO는 "AI기반 컴퓨팅은 광범위하게 기후위험을 촉발시키고 있다"면서 "재생에너지 사용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전세계 전력소비량에서 데이터센터와 데이터전송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략 1.5%에 달한다. 이는 브라질의 연간 이산화탄소(CO2) 배출량과 맞먹는다. 여기에 AI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데이터센터와 전송의 소비전력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추산에 따르면, AI 모델은 한번 학습할 때마다 10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전력보다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한다. IEA는 "AI 성장은 청정에너지 생산능력을 훨씬 앞서고 있다"고 우려했다.

AI 구동으로 인한 에너지소비는 변동성이 크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전력망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도 어렵고 탈탄소화도 쉽지않은 과제"라고 토로했다. 에너지 사용량이 북미에 집중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데이브 스털레이스(Dave Sterlace) 히타치 에너지(Hitachi Energy) 데이터센터 담당은 "북미 기업들이 AI 성장을 주도하면서 컴퓨팅 성능과 에너지 사용량이 북미에 집중되고 있다"며 "2년전만 해도 예상하지 못했던 추세"라고 말했다.

소위 '하이퍼스케일러(hyperscaler)'로 불리는 구글, MS, 아마존 등 대규모 클라우드 서비스업체들은 일찌감치 넷제로를 선언하면서 탈탄소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AI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 AI 구동과 학습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가 그동안 사용되던 중앙처리장치(CPU)보다 훨씬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관련업계에서는 "기존의 탈탄소화 전략은 '유통기한'을 다했다"고 진단하고 있다. 그동안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태양열과 풍력발전소 등에 자금을 지원하고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탈탄소화를 시도했다. 그러나 AI 사용이 급증하면서 이 방식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데이터센터의 작동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데이터 업체들이 시도하는 '로드 쉬프팅'(load shifting) 전략'이 대표적이다. 로드 쉬프팅 전략은 청정에너지 발전이 충분한 지역의 데이터센터 가동률을 높이고, 청정에너지가 부족한 지역의 데이터센터 가동률을 낮추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구글은 이미 일부 데이터센터 전력을 청정에너지 발전량에 맞춰 가동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방식은 '데이터 주권 정책'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데이터 주권 정책은 특정국가의 데이터가 국경을 넘는 것을 제한시키는 것으로, 많은 국가들이 도입하려는 움직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빅테크 기업들은 '로드 쉬프팅'을 활발하게 시도하고 있다. 사이러스넥서스는 "전세계 전력망을 샅샅이 뒤져 5분단위로 배출량을 측정해 가장 오염이 적은 컴퓨팅 자원을 찾는다"며 "실제로 네덜란드와 캘리포니아의 태양열 발전을 활용한 전례가 있다"고 말했다. 네덜란드는 가장 햇볕이 잘 들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 비용이 저렴하고 탄소배출도 적다. 네덜란드에 일몰이 오면 해가 중천에 뜬 캘리포니아 태양광발전소에 있는 데이터센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블룸버그 그린(Bloomberg Green)에 따르면 이같은 '태양 추적' 방식은 데이터 처리를 어느 한곳의 서버에만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34%까지 줄일 수 있다. 블룸버그 그린은 "이는 여분의 전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폭염이나 겨울폭풍 등으로 인한 전력망 부하를 줄이는데도 도움이 된다"면서 "그러나 데이터 수요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해 전기시스템이 혼란에 빠지고 정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전력망 사업자와 협력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구글과 아마존도 지난 몇 년동안 데이터센터 사용전환을 시험운영했다. 구글은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 가동시간의 약 64%를 청정에너지를 활용했다. 마이클 테렐(Michael Terrell) 구글 청정에너지 이사는 "지역 데이터센터 가운데 13곳이 청정에너지를 85% 활용하고, 전세계 7곳의 데이터센터가 청정에너지를 90% 넘게 활용한다"고 밝혔다. MS도 "버지니아주 데이터센터 전력의 90% 이상을 탄소중립 에너지로 충당한다"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활동

우리은행이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우리은행의 직원 사회공헌 커뮤니티 'WOORI 가족봉사단' 은 지난 10일 인천 을

KB국민은행, 2027년까지 3만㎡ '바다숲' 조성한다

KB국민은행은 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맞아 오는 2027년까지 3만제곱미터(㎡)의 바다숲을 조성하는 'KB바다숲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바다는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기후/환경

+

'바나나 재배지' 기후변화로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

2080년까지 기후위기로 바나나 재배지 가운데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자선단체 크리스천에이드가 12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

척박한 토양 늘어나고 있다...'물부족, 가뭄, 홍수' 초래

토양 악화로 물부족, 가뭄, 홍수 등 기후재난이 더욱 빈번해지고, 토양의 탄소저장 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국제토양보존 촉구단체 세

EU, 車 탄소배출 규제완화 확정…"전기차 전환 지연 우려"

유럽연합(EU)이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유럽의회는 8일(현지시간)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5년~2027년까지 3년 평균 배출

4월 1.5℃ 또 무너졌다…역대 두번째 더운 4월로 기록

올 4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1℃ 상승해 관측 사상 두번째로 더운 4월로 기록됐다.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

美중부지역 '4일간 비가 내릴 가능성' 40% 높아졌다

기후변화로 인해 미국 중부지역에서 나흘간 연속적으로 비가 내일 가능성이 40% 더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기후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WA)이 9

美 15개 주 '반기'...트럼프 '에너지 비상사태' 명령에 공동소송

미국의 15개 주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비상사태' 행정명령에 반대하며 9일(현지시간) 연방법원에 공동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행정명령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