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행사 개최순위 1~2위 꼽히던 韓 8위권 밀려

"예산 낭비일 수도 있죠. 하지만 분명한 것은 컨벤션센터가 지역발전에 큰 기여를 한다는 점이예요."
최근 우후죽순 건립되는 지역 컨벤션센터들이 '지방자치단체의 예산낭비가 아닌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윤은주 한림국제대학원 컨벤션이벤트경영학과 교수는 이렇게 답했다.
전국에서 지자체들의 컨벤션센터 건립 경쟁에 불이 붙었다. 새로 세우는 센터만 총 6곳이다. 청주에서는 '청주오스코'가 2024년 완공을 목표로 건립중이고, 천안에서는 '충남국제전시컨벤션센터'가 2026년 완공될 예정이다. 전주에서도 컨벤션센터 건립을 두고 논의중이다. 고양 킨텍스(KINTEX)와 벡스코(BEXCO), DJ센터도 증축 예정에 있다.
지자체들이 컨벤션센터 건립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함이다. 인구 감소와 맞물려 지역소멸이 큰 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컨벤션센터에 각종 전시행사를 유치해 외래객 유입을 늘리면 지역경제 특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구소멸 위기에 처한 지방의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컨벤션센터를 세우는 것도 컨벤션센터가 지역을 되살릴 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뜻한다.
윤은주 교수는 "마이스 비즈니스는 네트워킹 행사"라고 정의했다. 즉 사람 대 사람의 끝없는 연결, 네트워킹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컨벤션센터의 부흥에는 공간뿐만 아니라 센터에 상주하는 직원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윤 교수는 짚었다. 센터 직원들이 비즈니스 회의를 창출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민간지분이 들어간 관광진흥기구인 컨벤션뷰로(CVB, Convention & Visitors Bureau)가 이같은 역할을 담당했다. 공공기관이 세우는 컨벤션센터와 달리 컨벤션뷰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공동투자로 세워져 독립적인 조직이었다.
그러나 지자체별로 설립된 지방관광공사들이 컨벤션뷰로 조직을 흡수하면서 뷰로마저 공기업화됐다. 관광공사는 공기업 특성상 인사이동을 주기적으로 하는 순환보직를 실시하다보니, 담당자가 계속 바뀌면서 업무의 연속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네트워킹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인데 컨벤션뷰로 담당자가 계속 바뀌니 네트워킹 분절이 계속해서 발생한다. 컨벤션업체는 후발주자일수록 전문성을 갖춘 인력이 요구되지만, 센터가 재단법인·공사화되면서 비전문가의 개입이 늘었다는 지적이다.
이는 마이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은 영향도 있다. '마이스(MICE)'는 Meetings(회의), Incentives Travel(포상여행), Conventions(컨벤션), Exhibitions/Events(전시/이벤트)의 약자다. 하지만 정작 마이스의 의미와 의의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마이스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 탓일까? 국제협회연합(UIA) 개최순위 1, 2위를 유지하던 한국은 2022년 8위까지 떨어졌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에도 한국은 세계 4위를 유지했다.
순위 추락에 대해 윤 교수는 "국제적인 네트워킹이 끊긴 탓"이라고 단언하면서 "국제행사를 한국에 유치시킬만큼 네트워킹을 가진 사람들이 그만큼 줄었다는 반증"이라고 했다. 윤 교수는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관광공사들이 컨벤션뷰로 조직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면서 "뷰로의 경쟁성을 제고해 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컨벤션센터에 지역을 알릴 수 있는 행사 등을 많이 유치하면 지역상생 역할도 할 수 있다는 것이 윤 교수의 의견이다. 이를 위해서는 컨벤션센터와 더불어 접근성, 숙박, 관광 등 인프라도 갖춰야 한다고 짚었다.
윤은주 교수는 "비즈니스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래객들이 서울 외 지역에 머무르게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즉 '비즈니스 이벤트 레거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마이스투데이 창간인터뷰] 내용 더 자세히 보기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