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마다 닥치는 서아프리카 극한폭염...원인은 '기후위기'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2 18:59:18
  • -
  • +
  • 인쇄

올 2월 서아프리카 지역을 강타한 폭염의 원인이 지구온난화 때문으로 밝혀졌다. 인간이 일으킨 온난화로 인해 지구 평균온도가 4℃ 오르고 폭염 빈도는 10배 이상  늘어났다는 것이다.

21일(현지시간) 기후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orld Weather Attribution, WWA)이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가 없었다면 이번 서아프리카 폭염은 100년에 한번도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다. 그러나 기후위기로 인해 이 지역은 10년에 한번씩 극한폭염이 덮치고 있다.

보고서는 "탄소배출량이 급격히 줄어들지 않고 지구기온이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까지 상승한다면 이같은 폭염은 격년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WWA는 "전세계적으로 올 2월은 역대 2월 중 가장 더운 2월로, 9개월 연속 기록이 경신되고 있다"며 "계속 증가하는 탄소배출량과 엘니뇨 현상까지 겹친 것이 고온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2월에 폭염이 가장 극심했던 시기는 11일~15일이었다. 이 시기에 기온은 최고 40℃ 이상 치솟았고, 평균온도는 36℃를 기록했다. 특히 열지수 문제가 심각했다. 열지수는 신체가 더위를 느끼는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온도와 습도를 결합한 것으로, 이 기간 열지수는 무려 50℃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기상청은 열지수가 38℃를 넘으면 '위험' 등급으로 보고 야외활동 자제 및 충분한 휴식, 식수 급여를 권고하고 있다.

네덜란드 왕립기상연구소(Royal Netherlands Meteorological Institute)의 이지딘 핀토(Izidine Pinto) 연구원은 "이는 인체에 매우 위험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게다가 서아프리카 국가의 주력산업이 농업이라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평년 기준으로 2월은 온도가 다소 낮은 달이기 때문에 그 여파가 더욱 심각하다. 와시우 아데니이 이브라힘(Wasiu Adeniyi Ibrahim) 나이지리아 기상청 관계자는 "2월 폭염은 연초에 발생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더위에 적응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지구온난화가 조금만 더 진행되면 이같은 폭염은 더욱 더 심해질 전망이다"고 밝혔다.

서아프리카 지역의 열악한 인프라도 폭염대응의 취약요소로 꼽힌다. 마자 발버그(Maja Vahlberg) 적십자 기후센터 활동가는 "많은 사람들이 더위의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지만, 고온은 소리없는 살인자"라며 "특히 노약자,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 야외 작업자에게는 매우 치명적이다"고 했다. 이어 그는 "서아프리카 인구의 약 절반은 열악한 주택에 거주하고 있어 수백만명이 폭염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기후위기 대응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점이다. 최근 국제연합(UN)은 개발도상국의 기후위기 적응비용이 2150억달러에서 387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또 극한폭염은 농업에도 큰 타격을 준다. 보고서는 "서아프리카 지역은 세계 최대의 코코아 수출국이며, 현지 농부들은 더위로 인해 약해졌다"고 밝혔다. 실제 코코아 가격은 최근 몇 년동안 폭염으로 인한 작물 피해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언론 보도에 따르면,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의 주요 코코아 공장이 원두를 구매할 여력이 없어 가공을 중단하거나 줄였다. 이에 코코아 원두가격 1톤당 8000달러 이상으로 치솟았다.

앰버 소여(Amber Sawye) 영국 에너지 및 기후인텔리전스 유닛(Energy and Climate Intelligence Unit in the UK)은 "코코아를 재배하는 서아프리카의 농부들은 극심한 더위와 강우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개발도상국에 지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순배출량 제로를 달성해야 한다"며 "농작물이 자랄 수 있는 조건에는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코오롱, 미래세대 위한 친환경 에너지교육 지원 확대

코오롱그룹이 미래세대의 친환경 에너지 교육지원에 적극 나선다. 코오롱은 대한상공회의소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의 '다함께 나눔프로젝트'에 참여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기후/환경

+

한반도와 美서부 '강수 빈도' 증가한다...이유는?

지구온난화로 남극 기온이 상승하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와 미국 서부에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미국 코넬대학 연구팀

지구 4℃ 상승하면...전세계 인구 40% 빈곤해진다

지구 온도가 4℃ 상승하면 지구 인구의 40%가 빈곤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1일(현지시간)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학 기후위험대응연구소의 티모시

산불 커질만 했네…3월 한반도 기온·풍속 모두 이례적

의성, 안동, 산청 등 영남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빠르게 확산됐던 지난달 우리나라는 이상고온과 이상건조, 이례적 강풍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5℃ 기후목표에 매몰되면 농경지 12.8% 감소할 것"

1.5℃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전세계 정책이 전세계 농경지 면적을 약 12.8% 줄이는 결과를 초래해 식량 위기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