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마다 닥치는 서아프리카 극한폭염...원인은 '기후위기'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2 18:59:18
  • -
  • +
  • 인쇄

올 2월 서아프리카 지역을 강타한 폭염의 원인이 지구온난화 때문으로 밝혀졌다. 인간이 일으킨 온난화로 인해 지구 평균온도가 4℃ 오르고 폭염 빈도는 10배 이상  늘어났다는 것이다.

21일(현지시간) 기후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orld Weather Attribution, WWA)이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가 없었다면 이번 서아프리카 폭염은 100년에 한번도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다. 그러나 기후위기로 인해 이 지역은 10년에 한번씩 극한폭염이 덮치고 있다.

보고서는 "탄소배출량이 급격히 줄어들지 않고 지구기온이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까지 상승한다면 이같은 폭염은 격년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WWA는 "전세계적으로 올 2월은 역대 2월 중 가장 더운 2월로, 9개월 연속 기록이 경신되고 있다"며 "계속 증가하는 탄소배출량과 엘니뇨 현상까지 겹친 것이 고온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2월에 폭염이 가장 극심했던 시기는 11일~15일이었다. 이 시기에 기온은 최고 40℃ 이상 치솟았고, 평균온도는 36℃를 기록했다. 특히 열지수 문제가 심각했다. 열지수는 신체가 더위를 느끼는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온도와 습도를 결합한 것으로, 이 기간 열지수는 무려 50℃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기상청은 열지수가 38℃를 넘으면 '위험' 등급으로 보고 야외활동 자제 및 충분한 휴식, 식수 급여를 권고하고 있다.

네덜란드 왕립기상연구소(Royal Netherlands Meteorological Institute)의 이지딘 핀토(Izidine Pinto) 연구원은 "이는 인체에 매우 위험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게다가 서아프리카 국가의 주력산업이 농업이라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평년 기준으로 2월은 온도가 다소 낮은 달이기 때문에 그 여파가 더욱 심각하다. 와시우 아데니이 이브라힘(Wasiu Adeniyi Ibrahim) 나이지리아 기상청 관계자는 "2월 폭염은 연초에 발생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더위에 적응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지구온난화가 조금만 더 진행되면 이같은 폭염은 더욱 더 심해질 전망이다"고 밝혔다.

서아프리카 지역의 열악한 인프라도 폭염대응의 취약요소로 꼽힌다. 마자 발버그(Maja Vahlberg) 적십자 기후센터 활동가는 "많은 사람들이 더위의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지만, 고온은 소리없는 살인자"라며 "특히 노약자,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 야외 작업자에게는 매우 치명적이다"고 했다. 이어 그는 "서아프리카 인구의 약 절반은 열악한 주택에 거주하고 있어 수백만명이 폭염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기후위기 대응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점이다. 최근 국제연합(UN)은 개발도상국의 기후위기 적응비용이 2150억달러에서 387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또 극한폭염은 농업에도 큰 타격을 준다. 보고서는 "서아프리카 지역은 세계 최대의 코코아 수출국이며, 현지 농부들은 더위로 인해 약해졌다"고 밝혔다. 실제 코코아 가격은 최근 몇 년동안 폭염으로 인한 작물 피해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언론 보도에 따르면,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의 주요 코코아 공장이 원두를 구매할 여력이 없어 가공을 중단하거나 줄였다. 이에 코코아 원두가격 1톤당 8000달러 이상으로 치솟았다.

앰버 소여(Amber Sawye) 영국 에너지 및 기후인텔리전스 유닛(Energy and Climate Intelligence Unit in the UK)은 "코코아를 재배하는 서아프리카의 농부들은 극심한 더위와 강우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개발도상국에 지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순배출량 제로를 달성해야 한다"며 "농작물이 자랄 수 있는 조건에는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프랑스, 내년부터 화장품·섬유에 'PFAS' 사용금지

프랑스가 내년부터 화장품과 섬유에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이 금지된다.프랑스의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경기도, 전국 최초로 '기후테크 산업육성 조례' 제정

기후테크의 정의와 사업 육성 지원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담은 '기후테크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LG화학, 여수공장과 中텐진 '폐기물 매립제로' 국제인증 획득

LG화학이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국제인증을 한국과 중국 사업장에서 동시에 받았다.LG화학은 국내 여수 화치공장과 중국 톈진

SK케미칼, CDP 기후변화 분야 평가 'A등급' 획득

SK케미칼이 글로벌 평가기관으로부터 ESG경영 성과를 인정받았다. SK케미칼은 최근 국제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로부터 기

KCC, 폴리우레아 방수·바닥재 '환경표지' 인증

글로벌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폴리우레아 방수·바닥재 '시공시스템'에 대해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환경표지 인증은 '환경기

코오롱 어린이 드림캠프…장학생 30명 3년간 지원

코오롱그룹이 올해 30명의 장학생을 선발해 3년간 지원할 예정이다. 코오롱그룹 비영리 재단법인 꽃과어린왕자는 지난 17일부터 이틀간 경기 용인 코오

기후/환경

+

'2026 월드컵' 축구선수들 전례없는 기후스트레스 겪는다...왜?

오는 2026년에 치뤄지는 'FIFA 월드컵'에 참가하는 축구선수들은 높은 온도와 습도에 노출돼 건강에 큰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0일(현

"석유 시추금지 풀지마"...환경단체들, 美트럼프 대상 소송제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환경단체로부터 2건의 소송을 당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를 대상으로 제기한 첫번째 소송이다.19일(현지시간) 그린피스와 생물다

탄소감축의 획기적 방법?...CO2가 재생연료 '메탄올'로 변신

온실가스의 주범 이산화탄소(CO2)를 재생연료로 변신시킬 수 있는 촉매가 미국에서 개발됐다.왕해량 미국 예일대학 화학과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18일(

2000년 이후 해수면 1.8cm 상승..."빙하 6.5억톤 녹은탓"

2000년 이후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약 1.8cm 상승했고, 앞으로 녹는 속도가 더 가속화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19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학교 탄소배출 줄이자'...본지 참여 '넷제로앳스쿨' 대구 20개교 진행

기후변화 뉴스를 중점 보도하고 있는 뉴스트리가 학교를 대상으로 탄소를 감축하는 '넷제로앳스쿨' 프로젝트의 '넷제로 얼라이언스'로 참여한다.'넷제

美 환경규제 '뒷걸음'?…트럼프 기후내각 친환경 반대자들 대거 포진

화석연료 옹호자부터 빅 오일 기업가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내각은 '드릴, 베이비 드릴'이라는 선거 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인선으로 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