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탄소배출량 5년새 50% 증가...AI 때문에 넷제로 '흔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7-03 11:10:55
  • -
  • +
  • 인쇄
AI수요 증가로 넷제로 '상당한 불확실성'
IDC 전력소모·건자재 공급망배출량 급증


인공지능(AI)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5년 사이에 50%나 늘어나 '2030 넷제로' 목표가 흔들리고 있다.

구글이 2일(현지시간) 발간한 '2024 환경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구글의 탄소배출량은 전년보다 13% 증가한 1430만톤에 달했다. 이는 온실가스 저감 추이를 살피기 위해 설정한 기준연도인 2019년에 비해 무려 48% 증가한 수치다.

이로 인해 구글이 선언한 '2030 넷제로 목표' 달성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구글은 6년 이내에 탄소배출량과 탄소제거량이 같아지는 '넷제로'를 달성해야 하는데 현재 탄소배출량이 너무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목표 달성에 상당한 불확실성'이 생겼다"며 "예측하기 어려운 AI의 미래 환경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AI가 미래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는 AI 서비스로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지만,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서비스를 충족시키기 위해 데이터센터도 많이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데이터센터가 늘어나면 전력사용량도 그만큼 늘어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이다.

일례로 지난 2021~2022년 구글지도의 '친환경 길찾기' 기능은 내연기관 자동차 25만대가 1년간 내뿜는 탄소배출량인 120만톤을 저감했다. 하지만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모량은 2022~2026년 2배 늘어 일본의 전체 전력수요와 맞먹는 1000테라와트시(TWh)에 달할 전망이다. 늘어나는 수요를 재생에너지로 충족시키지 못하면 막대한 양의 온실가스가 대기로 배출된다.

실제로 구글의 2023년 데이터센터 전력소모량은 전년대비 17% 증가했다. 구글은 자사 데이터센터 전력소모량이 전세계 데이터센터 전력소모량의 7~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게다가 데이터센터를 새로 짓기 위해서는 건축자재 등을 조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급망 탄소배출량도 증가한다. 구글의 탄소배출량 가운데 공급망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75%로, 이는 전년보다 8% 증가했다.

구글은 보고서를 통해 '2030 넷제로' 목표 달성에 대해 "몇몇 주요 도전과제들에 대한 해결책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며 "전반적인 청정에너지 전환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