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6-30 16:45:35
  • -
  • +
  • 인쇄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

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고 '제10차 연례 환경보고서'를 통해 27일(현지시간) 밝혔다. AI 운영에 필수적인 데이터센터 증설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6년 데이터센터의 총 전력소비량이 1000TWh(테라와트시)로 2022년 대비 2배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일본의 전력 수요와 비슷한 수준이다. 리서치업체인 세미애널리시스(SemiAnalysis)는 AI로 인해 2030년까지 전세계 에너지 생산량의 4.5%를 데이터센터가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구글은 보고서에서 재생에너지와 탄소포집 기술에 투자해왔지만 저탄소 발전 구축이 부진한 상태인 데다 스코프3 배출량 억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데이터센터 탈탄소화 방안으로 꼽히는 소형모듈형 원자로(SMR) 건설 등 탈탄소 조치들이 예정보다 늦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스코프3 배출량은 2024년 전년대비 22% 증가했으며 주로 공급망에서 배출량이 늘었다. 스코프3 배출은 조직이 직접 소유하거나 통제하지 않는 자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뜻한다.

보고서는 "2030년까지 무탄소 에너지 전환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며 "첨단 지열에너지 및 SMR과 같은 유망한 기술에 계속 투자하고 있지만, 초기 단계이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데다 규제 구조상 인센티브가 부족해 진척이 더디다"고 밝혔다.

구글은 청정에너지 구매에 집중하고 있으며, 2010년 이후 170건, 총 규모 22GW(기가와트) 이상의 청정에너지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2024년에는 이 중 25개가 가동돼 2.5GW의 청정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 또 같은 해 구글은 8GW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며 거래량 신기록을 달성했다.

다만 구글은 AI로 가능해지는 배출량 감축 기능이 AI 자체에서 발생하는 배출량보다 더 클 것으로 보는 등 AI가 기후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글은 사용자들이 자사의 AI 제품을 통해 2030년까지 연간 탄소환산 배출량 1GT(기가톤)을 감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아마존 '지구허파' 옛말?...14만건 산불로 '탄소배출원'으로 전락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지난해 산림벌채보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유럽연합(EU) 공동연구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