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최대 84배 높은 '메탄' 배출을 감시하기 위한 인공위성을 쏘아올린다.
14일(현지시간) 구글과 국제환경단체 환경방어기금(EDF)은 오는 3월 중 메탄 탈루 현장을 찾아내는 인공위성 '메탄샛'(MethaneSAT)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8800만달러(약 1173억원)가 투입된 이번 프로젝트는 뉴질랜드 우주국, 미국 하버드대학교 등도 참여한다.
메탄샛이 실리게 될 발사체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세운 민간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다. 메탄샛은 300마일(약 483km) 상공의 궤도에 올라 하루 15차례 지구를 돌며 석유 및 천연가스 시설을 중심으로 배출원을 포착할 예정이다.
메탄샛이 위성사진을 보내주면 구글은 인공지능(AI) 툴로 메탄 탈루를 일으키는 시설과 설비를 지도로 만들고, EDF는 실제 피어오르는 메탄 기둥을 분석해 배출원별 배출량을 집계한다. 이 데이터들은 올 하반기 중으로 구글어스엔진(GEE)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또 수주간격으로 데이터를 갱신하고, 규제당국과 연구기관, 비영리단체, 언론 등에 이를 무료로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메탄은 대기중 체류기간이 10여년 수준으로 최대 200년까지 머무는 이산화탄소에 비하면 짧은 편이다. 하지만 메탄이 잔류하는 동안 유발하는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의 84배로 월등히 높다. 이같은 메탄의 농도는 지난 200년동안 2배 이상 늘어 지구온난화에 30%를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메탄은 자연생태계에서도 배출되지만, 농업이나 화석연료 추출과정 등 인간활동으로 배출되는 비중이 60%다.
다만 반대로 이야기하면 메탄을 감축했을 때 누릴 수 있는 효과는 그만큼 크다. 하지만 현재 메탄배출량에 대한 국제규제는 없는 상황이다. 2020년대비 2030년까지 메탄배출량을 30% 감축하는 '국제메탄서약', 유럽연합(EU) 차원에서 2025년까지 석탄광산에서 배출되는 메탄을 태우는 행위를 금지하는 등의 합의는 있지만, 구속력이 없다. 국제메탄서약에 불참한 중국, 러시아, 인도 등에서는 여전히 메탄을 대량으로 배출하고 있다.
이에 '메탄샛' 프로젝트는 규제당국이 제재수단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려는 취지라는 게 개발진의 설명이다. 구글의 지구 지속 가능성 담당 부사장인 야엘 맥과이어는 "메탄배출량 감축은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 중 하나"라며 "위성사진에 AI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에너지기업, 연구기관, 공공기관 등이 메탄배출원이 어디에 집중돼 있고, 어떤 식으로 새어나오고 있는지 파악해 필요한 조처를 취하도록 하는 데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