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속 270㎞ 허리케인이 벌써?...'베릴' 강타한 중남미 '쑥대밭'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7-05 11:59:13
  • -
  • +
  • 인쇄
▲허리케인 베릴로 쑥대밭이 된 그레나다 해안마을 (사진=연합뉴스)

슈퍼허리케인 '베릴'이 카리브해 동부를 쑥대밭으로 만들고 멕시코로 향하고 있다. 초여름에 초대형 허리케인이 발생한 것은 100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하는 이례적인 사례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바다수온이 상승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4일(현지시간) 영국 BBC, 미국 ABC 등 외신에 따르면 '베릴'은 지난 6월 28일 카리브해 섬나라 바베이도스에서 동쪽으로 2000㎞가량 떨어진 해상에서 발생해 42시간만에 최고 풍속이 시속 180㎞가 넘는 대형 허리케인으로 발달해 중미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베릴'은 발생 당시에는 최고 풍속이 시속 60㎞ 이하인 열대성 저기압이었다. 하지만 초대형급으로 규모가 커지면서 카리브해 섬 그레나다와 카리아쿠,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베네수엘라 등 '베릴'이 스쳐간 곳은 쑥대밭이 됐다. 현재까지 7명이 숨지고 주택 8000여채가 파손되는 것으로 전해지지만, 아직 파악되지 않은 것까지 합치면 피해규모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열대 대서양에서 이례적으로 일찍 형성된 '베릴'은 역사상 6월에 발달한 4등급 이상의 첫 허리케인으로 기록됐다. 카리브해 동부지역을 강타한 '베릴'은 지난 2일 새벽 최고등급인 '5등급'으로 발달하면서 최대 270㎞의 풍속으로 자메이카, 카이만제도를 휩쓸었다. 현재 최대 풍속이 230㎞인 4등급으로 위력이 약화된 '베릴'은 멕시코 유카탄 반도로 향하고 있다.

현지 허리케인센터에 따르면 '베릴'은 현지시간으로 5일 이른아침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상륙할 전망이다. 이에 멕시코는 카리브해 연안에 대피소를 마련하고 외곽 해안마을 주민들을 대피시켰다. 또 '베릴'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휴교령을 내리고 대피소 112개를 마련했다.

전문가들은 '베릴' 이상발달 현상을 두고 올해 해수면 온도가 이례적으로 높게 치솟은 것이 태풍의 형성 속도와 위력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해수면 온도가 높을수록 태풍이 더 많이 생겨나고 위력도 강해진다. 

이같은 이유로 4~5등급 강력 태풍은 해수 온도가 오르는 늦여름에나 발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올해는 이상고온이 지속되면서 8월말에서 9월초에나 발달할 수준의 허리케인이 초여름에 발생한 것이다. 미국 로언대학 조교수 안드라 가너 박사는 "우리는 이 지구를 데우고 있으며 해수면 온도 역시 높이고 있다"면서 "따뜻한 바닷물은 허리케인의 핵심 에너지"라고 강조했다.

올해 엘니뇨 현상이 끝나면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대두된다. 엘니뇨 현상은 날씨 패턴에 영향을 미쳐 대서양에서 강한 태풍이 출현하는 걸 방해하는데 최근 엘니뇨 현상이 종결되고 중립 상태로 전환되면서 태풍이 발생하기 좋은 조건이 갖춰졌다는 것이다. 게다가 올 하반기에는 엘니뇨의 반대 현상인 라니냐가 나타나 태풍이 더 많이 생겨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가너 박사는 "전례가 없긴 하지만 베릴은 온난화된 기후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해온 극단적 사례들과 상당부분 일치한다"면서 "이런 재해가 더 늘어나는 걸 막기 위해 온실가스 저감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기상어' 코스닥行...더핑크퐁, 연내 상장 목표로 공모절차 착수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종 콘텐츠 '아기상어'로 유명한 더핑크퐁컴퍼니가 연내 코스닥에 입성한다.더핑크퐁컴퍼니는 22일 금융위원회에 코

대한항공, SAF 사용확대...고베·오사카 노선도 국산SAF 1% 혼입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생산한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하는 상용운항 노선을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SAF는 폐기름, 동·

폐기된 서버 '로그기록' 있었다...KT, 소액결제 사태 새로운 단서?

KT가 폐기한 서버에서 로그기록이 별도로 백업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중국 해커집단의 국내 통신사 해킹 수법의 새로운 단서가 될지 주목된다.22일 KT가

하이트진로, 제주 이호테우해변서 ‘해변 가꾸기’ 환경정화

하이트진로가 '국제 연안 정화의 날'을 맞아 지난 19일 제주 이호테우해변에서 환경정화활동을 펼쳤다고 22일 밝혔다.하이트진로는 2020년 제주 표선해

2027년부터 국내급유 국제선 지속가능항공유 '1% 의무화'

2027년부터 국내에서 급유하는 모든 국제선 여객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 1% 혼합이 의무화된다.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항공업계 탄소중

대기업 취업시장 '활짝'…하반기 2만5000명 채용한다

삼성과 현대차 그리고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하반기 대규모 신규 채용에 나사면서 침체됐던 취업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19일 재계에 따

기후/환경

+

"美 산불 연기로 2050년까지 190만명 사망할 것"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2050년까지 19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美서 '살 파먹는' 박테리아 번성...기후위기 때문이라고?

올해 미국 루이지애나주 해안에서 일명 '살 파먹는' 박테리아로 인해 5명이 사망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박테리아가 번성한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1

붉게 변하는 알래스카 연어 하천…녹고있는 영구동토층이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산맥의 하천이 주황빛으로 변하며 새로운 수질 위기가 드러났다.미국 워싱턴대와 알래스카대 연구진은 9

트럼프는 반친환경 정책 펴지만...美 '기후주간'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

'클라이밋 위크(Climate Week) 2025'가 미국 뉴욕에서 21일(현지시간) 8일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친환경적 정

저수율 52%로 가뭄 벗어났지만...강릉, 투명페트 쓰레기에 '몸살'

강릉은 열흘전만 해도 저수율이 11.5%까지 떨어져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지만 최근 잇달아 내린 비 덕분에 저수율이 52%까지 높아지면서 가뭄에서 벗어났

가뭄 벗어난 강릉...단비에 도암댐 방류덕에 저수율 50.8%

강릉이 드디어 가뭄에서 벗어났다. 몇 일 간격으로 내린 단비에 평창 도암댐 방류까지 시작하면서 저수율이 50%를 넘어섰다.강릉지역 생활용수의 87%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