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길이 2m 독성 해파리 '득실'...발길 돌리는 피서객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8 17:17:28
  • -
  • +
  • 인쇄
▲어망을 가득채운 노무라입깃 해파리(사진=연합뉴스)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연안에 해파리떼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해안가를 가득 덮을 정도로 늘어나면서 어민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가장 많이 나타나는 해파리는 '노무라입깃' 해파리다. 8일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제주와 남해 연안, 동해 연안에서 노무라입깃해파리가 1헥타르(ha)당 108개체가 발견됐다. 지난해 0.3개체와 비교해 대폭 증가한 수치다. 이는 2015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다. 경기해역에서는 '보름달물' 해파리 발생 빈도가 한달 사이 20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라입깃 해파리는 강독성을 지니고 있어 쏘이면 붓고 발열·근육마비·호흡곤란·쇼크 증상이 나타난다. 게다가 성체 무게가 최대 200㎏에 달하며 촉수를 포함해 몸길이가 1~5m나 되기 때문에 어망이나 어구를 망가트린다. 보름달물 해파리의 경우는 크기가 작고 약독성이지만 어구 등에 달라붙어 어업 피해를 유발한다.

해파리 개체수가 증가하면서 쏘임 사고도 늘어나고 있다. 경북지역 해수욕장은 올해 해파리 쏘임 사고가 856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143배나 증가했고 제주도 12개 해수욕장에서도 쏘임 사고가 지난해보다 4배 가량 늘어난 346건이 발생했다.

이처럼 해파리 문제가 심각해지자 경북지역 해수욕장을 찾는 피서객들은 지난해보다 35.2% 줄었다. 특히 매년 10만명이 넘게 방문하던 월포해수욕장은 올해 고작 1만여명이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서비스(SNS) 등에는 피서지 해수욕장을 찾은 방문객들이 해파리 떼를 보고 발길을 돌렸다는 글들이 계속 올라왔다. 한 유튜버는 직접 동해 연안을 찾아가 해파리 떼가 해안가를 가득 채운 모습을 공개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며칠 전에 놀러갔다가 내 몸만한 해파리를 보고 모래찜질만 했다", "심각하단 얘기는 들었는데 이정도일 줄 몰랐다", "이것도 지구온난화 때문인가?" 등 깜짝 놀랐다는 반응을 보였다.

해파리의 대량출몰 원인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온 상승'이 지목됐다. 윤석현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연구관은 "기후변화로 해파리가 출몰하는 속도가 빨라졌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반도 해수면 온도는 지난 50년간 세계 다른 지역보다 높은 1.11℃ 상승했고, 특히 지난해 우리나라 해역의 연평균 표층수온은 19.8℃를 기록하며 관측 이래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해수온 상승과 연안 오염으로 인한 부영양화로 인해 해파리의 먹이인 플랑크톤이 풍부해지면서 해파리가 대량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부영양화란 화학 비료나 오수 유입으로 영양분이 과잉 공급되는 현상이다. 또한 연안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항만, 방파제 등 구조물 확대로 해파리 부착 유생의 서식처가 늘어난 것도 해파리 증가의 원인으로 꼽힌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 글로벌 ESG평가 생명공학 부문 상위 5%에 선정

셀트리온은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S&P글로벌이 주관하는 '기업지속가능성평가'(Corpor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이하 CSA) 생명공학 부문에서 국내 바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논란의 DEI '한국은 낙제점'

최근 ESG 이슈 중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이다. 직장에서 성별, 인종 등 기준에 따른 차별을 없애자는 내용

계단마다 10원씩...서울시-hy '기부하는 건강계단' 누적금 1.2억 돌파

서울시청 시민청 입구에 조성된 '기부하는 건강계단'을 통한 누적 기부금이 1억2000만원이 넘어선 가운데 올해도 서울시와 hy(옛 한국야쿠르트)는 건강

우리銀 인사카드에 '학력·병역·출신지' 없앤다

우리은행이 성과중심 조직문화 정착을 위해 직원 인사카드에서 학력, 병역, 출신 지역 등 업무능력과 연관성이 적은 인사 정보를 삭제한다고 14일 밝혔

하나금융 'ESG 공시 데이터 관리시스템' 구축

하나금융그룹이 14일 국내외 비재무(ESG) 공시 의무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ESG 경영 성과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공시하기 위해 그룹 'ESG 공시 데이터

IMO '해운 탄소세' 도입...2027년 대형 선박부터 적용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운 탄소세'를 처음으로 도입했다.IMO는 지난 1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에서 해양오염

기후/환경

+

지구온난화 2배 빠른 유럽...지난해 기상재해로 40만명 피해

지난해 기상재해로 41만3000명의 유럽인이 피해를 입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유럽연합의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

기후위기 영향?...국내 바다에 '대형상어' 급증

최근 우리나라 바다에 대형상어 혼획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동해 상어 혼획 건수가 최근 크게 증가해 2022년 1건에 불과

'물폭탄' 잦아진 이유...기후위기로 해양폭염 일수 3배 늘었다

기후위기로 해양폭염 일수가 3배까지 늘어나면서 폭풍이 증가하고 다시마, 산호초 등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14일(현지시간) 스페인 마요르카 지

올겨울 초미세먼지 3.3% 개선됐는데...서울과 제주는 더 악화

올겨울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에 우리나라 초미세먼지 농도가 약 3.3%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 3월 31일까지 '제6차

[영상] "기후위기는 총체적 위기...대선후보 기후의제 TV토론 열자"

기후환경단체들이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에 기후위기를 단일 주제로 한 TV토론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기후위기비상행동과 기후정치바람은 15일

'불의 고리'에서 또?...美 샌디에이고 5.2 지진에 LA까지 '흔들'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규모 5.2의 지진이 발생했다. 피해 신고는 아직 들어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미 지질조사국(USGS)은 현지시간으로 14일 오전 10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