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재단 '2024 환경위기시계' 발표…한국의 시간은?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9-05 12:46:15
  • -
  • +
  • 인쇄
▲2024 세계와 한국의 환경위기시계 (사진=환경재단)

한국의 환경위기 인식이 '위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재단은 올해 한국의 '환경위기시계'가 9시11분으로 지난해보다 조금 나아졌지만 여전히 위험한 수준이라고 5일 밝혔다. 환경위기시계는 환경재단과 일본 아사히글라스재단이 국가별 환경오염에 따른 인류생존의 위기 인식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환경위기시계가 12시에 가까울수록 환경에 대해 높은 위기의식을 갖는다는 의미다. 0~3시는 '좋음', 3~6시는 '보통', 6~9시는 '나쁨', 9~12시는 '위험'으로 분류된다.

전세계 128개국 2093명의 환경·지속발전가능·ESG 관련 전문가와 시민사회 단체 활동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세계 환경위기시계는 지난해보다 4분 줄어든 9시 27분이고, 한국 환경위기시계는 지난해 9시28분보다 17분 앞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재단에 따르면 세계 환경위기시계는 1996년 이후 2000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9시대로 '위험'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결과에 따르면 전세계 대륙 중 서유럽이 10시 15분으로 유일하게 지난해보다 시간이 자정에 가까워졌으며, 이외 모든 지역에서는 낮은 위기감을 보였다. 특히 멕시코, 중미, 카리브해는 각각 35분, 중동은 44분 가량 시계가 크게 후퇴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60대 이상 응답자들이 가장 위기의식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50대 연령대는 오히려 위기감이 떨어졌다고 답했다. 이는 젊은 세대와 기성 세대 간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의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환경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토지 이용 및 광산 개발, 산림벌채, 산업폐기물 매립 등이 꼽혔다.

환경재단 관계자는 "환경 위기는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그러나 이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인식이 무뎌지면서 위기감이 줄어들고 환경위기시계가 앞당겨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이젠 정부·기업·시민사회가 힘을 합쳐 구체적 행동에 나설 때"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 글로벌 ESG평가 생명공학 부문 상위 5%에 선정

셀트리온은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S&P글로벌이 주관하는 '기업지속가능성평가'(Corpor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이하 CSA) 생명공학 부문에서 국내 바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논란의 DEI '한국은 낙제점'

최근 ESG 이슈 중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이다. 직장에서 성별, 인종 등 기준에 따른 차별을 없애자는 내용

계단마다 10원씩...서울시-hy '기부하는 건강계단' 누적금 1.2억 돌파

서울시청 시민청 입구에 조성된 '기부하는 건강계단'을 통한 누적 기부금이 1억2000만원이 넘어선 가운데 올해도 서울시와 hy(옛 한국야쿠르트)는 건강

우리銀 인사카드에 '학력·병역·출신지' 없앤다

우리은행이 성과중심 조직문화 정착을 위해 직원 인사카드에서 학력, 병역, 출신 지역 등 업무능력과 연관성이 적은 인사 정보를 삭제한다고 14일 밝혔

하나금융 'ESG 공시 데이터 관리시스템' 구축

하나금융그룹이 14일 국내외 비재무(ESG) 공시 의무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ESG 경영 성과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공시하기 위해 그룹 'ESG 공시 데이터

IMO '해운 탄소세' 도입...2027년 대형 선박부터 적용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운 탄소세'를 처음으로 도입했다.IMO는 지난 1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에서 해양오염

기후/환경

+

"기후위기는 총체적 위기...대선후보 기후의제 TV토론 열자"

기후환경단체들이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에 기후위기를 단일 주제로 한 TV토론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기후위기비상행동과 기후정치바람은 15일

'불의 고리'에서 또?...美 샌디에이고 5.2 지진에 LA까지 '흔들'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규모 5.2의 지진이 발생했다. 피해 신고는 아직 들어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미 지질조사국(USGS)은 현지시간으로 14일 오전 10시

지구온난화로 북대서양 '탄소저장' 기능 멈출 수 있다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서 바다의 탄소저장 능력에도 한계가 오고 있다.14일 서울대학교 국종성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이산화탄소 배출 속도

美 향했던 친환경 투자금 다른 국가로 분산..."미국만 고립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전쟁'으로 미국으로 향했던 친환경 프로젝트 자금이 다른 나라로 분산되면서 오히려 전세계 에너지 전환

IMO '해운 탄소세' 도입...2027년 대형 선박부터 적용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운 탄소세'를 처음으로 도입했다.IMO는 지난 1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에서 해양오염

기후파괴 앞장선 美...산업시설 탄소배출량 의무보고 폐지

"기후위기는 가짜"라며 반(反)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산업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를 폐지했다. 중국 다음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