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기능 못하는 수자원공사 풍력발전기...지난해 293일 '미가동'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0-17 09:49:09
  • -
  • +
  • 인쇄
▲수자원공사 풍력발전시설의 설계연간 발전량 대비 실발전량 (자료=임이자 의원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수자원공사가 설치한 풍력발전시설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임이자 의원(경북 상주·문경)이 17일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자원공사는 2010년부터 유휴부지에 풍력발전시설을 설치했는데 실발전량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자원공사가 설치한 풍력발전시설은 시화방아머리에 2기, 경인아라뱃길에 2기, 감포 댐에 1기 등 5개 시설을 설치했다.

시화방아머리 풍력발전소는 시험인증서 발전효율이 107.44%로 나왔지만 설계연간 발전량(5861MWh) 대비 실발전량은 14년부터 지난해까지 평균 63.2%였다.

경인아라뱃길 풍력발전소 또한 시험인증서 발전효율이 99.48% 였지만 설계 연간 발전량(3633MWh) 대비 실발전량은 평균은 44.8%이며 22년엔 22%까지 떨어졌다.

감포 풍력발전소의 경우 시험인증서 발전효율이 99.17%이지만 4244MWh의 설계 연간 발전량에 비해 실발전량은 평균 37.8%이었으며, 특히 지난 해에는 10%까지 급감했다.

실발전효율이 낮은 이유는 풍력발전기의 미가동일수가 급증한 것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감포 풍력의 경우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100여일이 넘게 미가동 상태였고, 지난해는 무려 293일이나 가동되지 않았다. 경인아라뱃길 풍력발전도 미가동일수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66일동안 가동이 중지됐다.

풍력발전시설이 10년이 넘으면서 노후화로 고장이 잦아지지만, 부품 대부분이 외국산이다보니 고장이 났을 경우 부품 수급 및 해외기술자 파견 등의 문제로 수리하는데 오랜시간이 걸리고 있다.

임이자 의원은 "수자원공사는 발전 생산이 떨어지는 비효율적인 풍력발전을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유휴부지에 풍력을 대체해 보다 효율이 높은 친환경 에너지공급을 위한 사업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