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화석연료로 회귀?...트럼프, 에너지장관에 셰일가스 기업 CEO 지명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1-18 09:49:14
  • -
  • +
  • 인쇄
▲美에너지부 장관으로 지명된 크리스 라이트 (사진=리버티 에너지 홈페이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6일(현지시간) 에너지부 장관에 크리스 라이트 리버티에너지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를 지명했다. 라이트 지명자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위기를 부정하는 인물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화석연료 확대 구상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라이트를 에너지부 장관으로 지명하면서 "원자력, 태양광, 지열, 석유·가스산업에서 일해온 그는 미국 셰일 혁명을 추동한 개척자 중 한 명"이라면서 "에너지부 장관으로서 관료주의를 혁파하고 혁신을 이끄는 핵심 리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한 라이트는 셰일가스 관련 업계에서 일하다 1992년 셰일가스 개발·생산 기업인 피너클테크놀러지를 설립해 2006년까지 CEO를 지냈다. 이후 2011년 리버티에너지를 설립해 지금까지 경영해오고 있다.

콜로라도주 덴버에 본사를 둔 리버티에너지는 셰일가스 추출을 위한 수압 파쇄법인 '프래킹'(fracking)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라이트 지명자는 친(親)공화당 성향 매체인 폭스뉴스에 자주 출연하는 한편 소셜미디어와 팟캐스트 등에서 석유와 가스 개발을 옹호하면서 기후변화에 회의적인 견해를 자주 피력해 트럼프 당선인의 눈에 띄었다.

뉴욕타임스(NYT)는 그에 대해 "석유와 가스가 사람들을 빈곤으로부터 구한다는 메시지를 전파해온 미디어친화적 화석연료 전도사"라고 평했다.

에너지부는 미국의 에너지 외교와 전략비축유(SPR) 관리 등 에너지정책 전반을 총괄하는 부처로, 라이트 지명자는 트럼프 당선인의 화석연료 생산 확대 계획을 뒷받침하는 한편 미국의 글로벌 에너지 시장 지배력 강화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인은 기후위기론을 부정하며 재생에너지를 폄하하고 화석에너지의 무제한 생산을 옹호해왔다.

라이트 지명자 역시 기후운동가들이 불필요한 우려를 자아낸다고 비난하면서 지구온난화에 맞서기 위한 민주당의 노력을 소련식 공산주의에 비유해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자신의 링크트인(LinkedIn) 프로필에 기후위기는 없다는 내용의 동영상을 올리고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를 더 많이 생산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스스로를 '기술괴짜'(tech nerd)라고 부르는 자유분방한 인물로, 2019년에는 프래킹에 사용되는 액체가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겠다며 카메라 앞에서 이를 직접 마시는 기행을 하기도 했다.

정치 경험은 전혀 없다. 대선 과정에서 트럼프 당선인 캠프에 상당액의 기부금을 내고 모금 행사를 직접 열기도 했다.

석유와 천연가스 채굴을 늘리고 관련 규제를 철폐하겠다고 공약해온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15일에는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총괄할 국가에너지회의(National Energy Council) 신설도 발표했다.

국가에너지회의 의장은 내무장관에 지명된 더그 버검 노스다코타 주지사가 맡는다. 라이트도 상원 인준을 받으면 국가에너지회의 위원이 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