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반도 하늘 10년來 가장 깨끗했다...이유는?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1 15:13:35
  • -
  • +
  • 인쇄
초미세먼지 농도 15.6㎍/㎥ 최저 기록
정책효과, 해외유입 감소 등 복합요인
▲미세먼지에 뒤덮여 있는 서울 하늘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우리나라 상공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낮았다.

환경부는 2024년도 전국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가 15.6㎍/㎥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전국 531곳의 도시대기측정망 관측값을 분석한 것으로, 2015년 초미세먼지 농도에 비해 38.1%(25.2→15.6㎍/㎥), 2023년(18.2㎍/㎥)에 비해 14.3%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초미세먼지가 '좋음'(전국 일평균 15㎍/㎥ 이하)을 기록한 날은 관측 이래 가장 많은 212일이었고 '나쁨(전국 일평균 36 ㎍/㎥ 이상) 일수는 10일로 가장 적었다. '매우 나쁨'(전국 일평균 76 ㎍/㎥ 이상) 일수는 전국적으로 단 하루도 발생하지 않았다.

전국 17개 시도별 초미세먼지 농도는 12.3~18.9㎍/㎥ 수준으로 집계됐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와 전남(12.3㎍/㎥)이고, 강원(12.9㎍/㎥)과 경남(13.0㎍/㎥)이 그 다음순이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된 지역은 2015년보다 54.8%(35.4→16.0㎍/㎥) 좋아진 전북이었고, 전남 50.4%(24.8→12.3㎍/㎥), 강원 50.0%(25.8→12.9㎍/㎥) 순이었다.

지난해 전국 153개 시군별 초미세먼지 농도는 8.8~21.2㎍/㎥ 수준으로 강원 양양이 8.8㎍/㎥로 가장 낮았다. 도시대기측정망이 모두 설치된 2020년 이래 농도 개선폭이 가장 큰 지역은 48.9%(18.2→9.3㎍/㎥) 개선된 태백이었다. 전남 구례가 42.9%(18.4→10.5㎍/㎥), 충북 보은이 41.4%(21.5→12.6㎍/㎥)로 개선폭이 높았다.

이처럼 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된 것은 정부의 정책효과와 국외 유입 감소, 양호한 기상여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정부는 산업과 수송, 생활 등 전 부문에 걸쳐 저감 정책을 추진했다. 산업 부문은 대기관리권역 내 사업장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총량을 설정해 총량범위 내에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했다. 대상 사업장 수는 2020년 400곳에서 2024년 1013곳으로 늘었다. 또 지난해 684곳의 영세 사업장에 대해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설치를 지원했다.

수송 부문은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 사업 등으로 배출가스 5등급 경유차 대수(저공해미조치 보험가입기준)가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5등급 경유차 대수는 20만9000대로, 전년 28만1000대보다 25.6% 줄었다. 또 지난해부터 배출가스 4등급 경유차 전체를 대상으로 조기폐차 지원 사업을 추진한 결과 4등급 경유차는 2023년 97만6000대에서 2024년 82만2000대로 15.8%가 줄었다.

한편 전기·수소차 충전 기반시설(인프라)은 지난해 41만886기 늘어나면서 누적으로 75만20기가 보급됐다. 이는 전년 대비 25.1% 증가한 수치다.

생활 부문은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대상 친환경 보일러를 2024년 총 1만7696대 보급했다. 농촌지역 불법소각을 방지하기 위한 영농폐기물 공동집하장을 2020년 8035곳에서 2024년 1만553곳으로 확충했으며, 영농폐기물 파쇄지원단 집중운영 등을 통해 영농폐기물 적정 수거·처리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중국에서 초미세먼지 유입이 줄어든 것도 농도 개선에 한몫했다. 우리나라와 인접한 베이징, 텐진, 허베이 등 동북부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2024년 42.2㎍/m3로 2015년보다 45.2%(77→42.2㎍/㎥) 개선됐다. 이는 201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상하이를 포함한 중국의 장강 삼각주 권역도 37.7%(53→33㎍/㎥) 감소해 2015년 이후 세번째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2024년 기상 상황은 2023년과 연평균 기온·습도·풍속 등은 유사했지만, 강수 일수가 증가하고 대기 정체 일수가 줄어든 것이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월별 초미세먼지 농도로 보았을 때 전년 대비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 폭이 컸던 2월은 강수로 인한 세정효과와 함께 동풍계열 바람 증가(9.1%) 및 서풍계열 바람 빈도 감소(-9%)로 인한 외부 유입 여건 변화, 3월은 무풍(풍속 0.5 m/s 이하) 발생 빈도의 감소에 따른 원활한 대기 확산이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기후/환경

+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플라스틱 펠릿으로 뒤덮인 바다...침몰 선박에서 7만자루가 '와르르'

침몰된 선박에서 유출된 플라스틱 알갱이(펠릿)들이 해안가로 밀려오면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지난 5월 25일 라이베리아 국적의 컨테이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