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지역 야산과 저수지에서 멸종위기종이 잇따라 포착되면서 생태계 복원에 대한 청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울산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울주군 야산과 저수지에서 참수리, 흰꼬리수리 등이 연이어 관찰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12일과 15일에는 철새동호회 '짹짹 휴게소'가 청량읍 야산에서 참수리 1마리와 흰꼬리수리 어린 새 2마리를 발견했다. 이어 올 1월 30일에는 조류 동호인들이 청량읍 저수지에서 흰꼬리수리, 물수리, 참수리 등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 13일에는 윤기득 사진작가가 울주군 웅촌면 저수지 인근에서 흰꼬리수리 어린 새들의 모습을 포착했다.
참수리는 해안가 하구, 하천에서 어류와 동물 사체를 먹으며 극히 적은 수가 월동하는 겨울 철새로 천연기념물이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1급인 국제적 보호종이다. 흰꼬리수리도 마찬가지로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야생생물1급으로 우리나라에선 드문 편인 겨울 철새다.
한상훈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장은 "참수리와 흰꼬리수리는 매년 20~30마리 정도 월동을 위해 한반도를 찾아온다"며 "울산에서 최근 지속적으로 관찰되고 있다는 건 먹이와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는 안전한 곳으로 인식됐다는 증거로, 머무는 기간에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