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없이 감사한 마음이 '감사의 재발견'

언제부터 잊고 살았을까. 감사하는 마음과 감사의 고백을. '고맙다'는 말은 했지만 입술에서만 맴돌았고, 감사한 때가 있기도 했지만 늘 그러진 못했다. 실상 우리에게 주어진 삶이 그리 감사하지 않았다.
#.
며칠 전, 오랜만에 만난 대학 선배가 말했다. "모든 게 감사해요." 그녀는 지난 2월, 뇌혈관 꽈리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그냥 간단한 수술인가 했는데 막상 그렇지 않았다. 수술은 어려웠고 수술 시간이 길어졌다. 수술 이후도 만만치 않았는데, 회복은 느렸고 모든 게 불편했다. 어지럼증, 메스꺼움, 토악질, 특히 화장실을 이용할 때 무척 주의해야 했단다.
완치되고 일상이 완전히 회복되자 갑자기 세상이 다르게 보였다. 아침 햇살이 고마웠다. 밥을 넘기는 일이 경이롭고, 무사히 화장실을 다녀오는 게 축복으로 느껴졌다. 새소리를 들으며 잠에서 깨는 일이 감미로운 사건이 되고, 차를 마시며 대화하는 시간도 감사했다. "일상의 모든 것이 감사해요. 모든 것이 기적처럼 느껴져요."
그녀의 고백은 미국 작가 프레드릭 비크너의 말을 생각나게 한다. "은혜란 이런 뜻이다 ; 자, 너의 삶이다. 너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었지만 지금 존재하고 있다." 살아있다는 그 자체, 삶이 내게 주어져 있다는 사실, 삶의 모든 순간이 선물처럼 주어져 있다는 것을 자각하는 것이 감사하는 마음의 출발점인지도 모른다. 매 순간이 은총과 선물처럼 느껴지는 그런 삶을 살아야 하지 않을까.
#.
작년 12월 3일, 계엄내란이 터졌다. 그러자 나의 일상이 무너졌다. 글 작업, 일정과 계획들, 모임과 비즈니스들이 몽땅 멈췄다. 나는 책상을 벗어나 거리로 나갔고 펜 대신 깃발을 들었다. 문학단상을 쓴다는 것이 한가하게 느껴졌다. 대신 성명서를 썼다. 한 작가와 준비 중이던 인문학 살롱 오픈도 무기한 연기했다. 살기 위해셨다. 함께 살기 위해서였다. 우리는 거리에서 만나 새로운 '서사'를 만들고 있었다. 프란츠 파농이 말했던가. "사랑은 우리를 존재하게 하고, 투쟁은 우리를 사람으로 만든다."
탄핵이 가결되는 그 순간 우리는 함성을 질렀고, 난 송현 공터에서 춤을 추었다. 국민 후보 이재명이 당선되고 국민주권정부가 탄생했다. 그 순간의 희열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었다. 나의 서사와 국민들의 서사, 이재명의 서사와 우리 정치 서사가 결합하여 새로운 미래를 젖혀내었기 때문이다.
이제 일상으로 돌아왔다. 나의 접어두었던 페이지를 열고 책을 읽고, 보고픈 이들을 만나고, 글을 쓰기 시작한다. 모든 것이 감사하다. 미소 지으며 뉴스를 듣는 순간이 감사하고, 다시 내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이 감사하고, 한가로이 카페에 앉아 이런 글을 쓰는 상황 자체가 감사하다. 누군가를 만나 "잘 지냈어? 어떻게 지내고 있니?"라고 묻고 잡담을 나누는 것이 고맙다. 내 감각이 달라졌다. 그간 가장 평범한 것들이 가장 고귀한 것들이 되어 내게 선물이 되었다.
그러니 나는 오늘도 고맙다. 무엇보다도 이런 소소한 이야기를 당신에게 전할 수 있어서. 혹 나에게 질문을 허용하신다면, '당신은 오늘 무엇에 감사할 수 있는가?'라고 묻고 싶다. 요즘 친구들에게 이렇게 말하곤 한다. 고맙다, 감사합니다. 딱히 이유가 없다. 그냥 고맙다. 그저 함께 만나고 동행하는 것이 고마운 것이다. 내가 감사를 재발견하게 되었다는 것, 이것도 고맙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