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 칼럼] 원하는 것이 없는 삶...가능할까?

황산 (칼럼니스트/인문학연구자) / 기사승인 : 2025-08-01 08:30:02
  • -
  • +
  • 인쇄
아마존 피하라 부족 '원한다'는 단어 없어
욕망하고 소비로 치닫는 우리삶 성찰해야
▲피라하 사냥꾼

우리 인간은 원하고 바라고 욕망한다. 그 원하는 것이 먼 미래에 속한 것이면 '희망'이 된다. 희망은 결핍과 부재에서 피어난 꽃이 되어 우리에게 손짓한다. 인간은 호모 큐피엔스(Homo cupiens), 즉 욕망하는 존재다. 욕망하라, 이 말은 현대인의 화두가 됐다.

◇ 피라하 부족의 별난 언어 세계

아마존 정글에는 특이한 소수부족이 있다. 바로 브라질 북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피라하(Pirahã) 부족이다. 이 부족의 언어에는 '원한다'(want)에 해당하는 단어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숫자를 나타내는 단어도 없다고 한다. 언어인류학자 다니엘 에버렛(Daniel Leonard Everett)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 부족은 수에 대한 개념도 없고 이를 표현할만한 말도 없다. 대신 적은 양과 많은 양을 나타내는 상대적 표현만 사용한다. 이 부족은 또 색깔을 지칭하는 단어도 없고, 과거와 미래 시제가 없다. 특정 상태를 수식하는 부사절이나 종속절 구조도 없다. 시간감각이 없는 이들은 욕망도 표현하지 않고 살고 있다.

인간의 언어는 그 사고방식과 소통을 좌우하고 라이프 스타일과 직결된다. 피라하에게 과거나 미래를 나타내는 언어가 없다는 것은 그들에게 오직 현재의 직접적 경험만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내일이나 어제 그리고 기억에 관한 개념어가 없으므로 '원한다'라는 개념도 필요하지 않았던 거다. 이런 피라하 언어를 두고 언어가 발달하지 않은 문자 이전 단계라거나 미문명 상태로 단정짓는 것은 모든 걸 '문명-미개 도식'으로 나누는 서구적 편견에 불과하다. 이들은 자족하며 행복하게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삶을 그대로 존중하고, 그 삶의 향기를 맡고자 하는 태도를 지녀야 하지 않을까.

피라하 사람들은 현재의 경험만으로 살아간다. '지금 여기'(now and here)를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미래에 대한 기대나 불안으로 마음 졸이지도 않고, 과거에 대한 회상이나 후회에도 거의 빠져들지 않는다. 욕망이 없는 삶이다. 아, 놀랍게도 이들은 수도자도 아니고 도인도 아니다. 사실 우리 도시인들은 아무리 애써도 피라하 스타일을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 내 욕망의 출처–나의 바깥

오늘날 도시문명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오로지 욕망하고 소비하며 살아간다. 우리의 소비생활에 대해 현대의 지성들은 이렇게 해부한다. "그걸 원해서 구매했다구요? 아닙니다. 당신은 욕망하게끔 설계된 겁니다." 우리가 카드 결제를 하거나 온라인 구매를 할 때 뇌에서 발생하는 쾌감은 실제의 욕구나 생존과는 별 상관이 없다. 그 쾌감은 욕망의 충동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놀랍게도 내 욕망은 '나의 것'이 아닐 가능성이 더 높다.

라캉은 욕구(need)와 욕망(desire)을 명확히 구분한다. 욕구는 생물학적인 결핍을 채우는 데 목적이 있다. 배가 고파 밥을 먹는 것처럼, 욕구는 충족 가능한 것이고 충족되는 즉시 더 이상 욕구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욕망은 채울 수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무엇인가를 '필요'로 해서가 아니라, 타인이 욕망하기 때문에 바로 그것을 욕망한다. 재산, 명품, 학력, 이미지, 문화취향 등 모든 것이 욕망의 기호가 되어 우리를 움직이는 걸 우리가 경험하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 사람들은 다투어 광고 모델이 들고 있는 명품 가방, 특정 브랜드의 상품, 인플루언서가 손에 쥔 물건이나 음료수를 찾는다. 욕망은 아무리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항아리처럼 끝없이 욕망하게 만든다.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는 <소비사회>에서 이를 깊이 통찰했다. "우리는 물건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호로서 소비한다." 그래서 우리는 물건의 필요성보다 그 브랜드와 사회적 이미지, 지위, 라이프 스타일을 구매하고 과시한다. 언제나 광고에 노출된 우리는 스마트폰과 텔레비전 모니터를 보며 온라인 구매에 열을 올린다. 우리의 욕망 자체가 조작되는 것이다. 이런 구조 속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소비 충동을 느끼며, 소비와 상품의 과잉에서 오는 피로와 공허에 시달린다. 갈망하는 now–here의 삶은 no-where가 되어버리고 지금-여기에 번식하는 소비 안에서만 안심한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탈출하기란 그리 쉽지 않다.

◇ 피라하 사람들의 레슨

피라하 부족은 우림 속에서 자연적인 삶을 살아간다. 그들에게도 어떤 위험이나 자원의 부족이 없을 순 없을 것이다. 그곳은 결코 낙원이 아니다. 하지만 그들은 결핍을 느낄 줄 모른다. 그들은 더 많은 것을 원하는 대신, 자연과 함께 자신들의 온삶 그대로를 받아들이며 그저 대지와 함께 살아간다. 문명인의 언어로 묘사하자면, 피라하 사람들은 원하는 것이 없다. 그 '없음'은 오히려 욕망에 사로잡히지 않은 자유로운 삶, 생명의 흐름에 더 가까운 삶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사는 세상이 목숨을 건 전쟁을 벌이는 정글이 아니라 넘침도 모자람도 없는 정원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

피라하 사람들은 우리의 욕망을 깊이 되돌아보게 한다. 우리에게 다르게 사는 법을 배우라고 말하는 것 같다. 우리를 칭칭 감고 있는 이 교묘한 질서의 구조를 의심하게 만든다. 나의 온 세포에 새겨진 욕망과 소비의 기호를 전복해야 하지 않을까? 내 욕망의 구조를 의심하는 것이 곧 저항의 출발점이다. 우리가 자꾸 '좀 더'(more)와 '더 나은 미래'로 달려가고 싶을 때, 그들의 삶에 귀 기울이는 것이 지혜이리라.

그러므로 다르게 말해보자. '나는 무엇을 원하다'고 말하는 걸 줄여보자. 셈하는 법을 줄여보자. 과거를 붙잡고 늘어지거나 미래를 앞당겨 짐으로 만들기를 그쳐보자. 그리고 내가 마주하는 사람들의 눈동자와 얼굴, 초록 숲과 푸른 하늘을 좀 더 바라보자. 그저 응시하자.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두나무 인수한 네이버...AI와 블록체인 앞세워 '글로벌 금융' 노린다

세계 3위 가상자산거래소 두나무가 네이버 품에 안기면서 20조원 규모의 금융플랫폼이 탄생했다. 26일 네이버와 두나무 이사회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

'비상경영' 롯데 인적쇄신...부회장 전원 용퇴에 CEO 20명 '물갈이'

롯데그룹이 부회장단 전원 교체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20명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를 단행했다.롯데그룹은 2026년 임원인사에서 9

롯데케미칼-현대케미칼, 석화공장 합친다...울산과 여수도 통폐합 속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의 석유화학 사업이 합쳐진다. 지난 8월 20일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사업재편을 위한 자율협약을 맺은 이후 첫번째 구조조정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우리銀, 사회적경제기업 10곳 선정…최대 2000만원 지원

우리은행이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해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하는 '임팩트 챌린지' 공모를 시작했다.우리은행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함께 '2025년 우

위생행주·인조잔디까지...CJ제일제당, PHA 적용제품 확대

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CJ제일제당은 PHA를 적용한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 '생분

기후/환경

+

플라스틱 문제 일으키는 '조화'...인천가족공원서 반입 금지될듯

인천가족공원에 플라스틱 조화(造花) 반입을 자제하도록 하는 조례 제정이 추진된다.26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전날 산업경제위원회를 통과한 '인천시

'2.5°C' 상승한 우즈베키스탄…극심한 가뭄에 이미 위기상태

우즈베키스탄 일부 지역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2.5°C까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온난화로 인한 가뭄과 물부족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태평양 참치에서 검출된 '수은' 오염경로 추적해봤더니...

참치 등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해양어류 몸속에 수은이 어떻게 축적되는지 그 경로가 밝혀졌다.포항공대(POSTECH)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연구팀과 한국

알프스·안데스·히말라야가 위험하다...기후변화로 곳곳이 '흔들'

험준한 산악지대로 유명한 히말라야를 비롯해 알프스, 안데스산맥이 기후변화가 불러온 기온과 강수패턴 변화로 인해 무너져내리고 있다. 25일(현지시

폭염에 열받은 젖소들...우유 생산량 줄고 있다

젖소들이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25일(현지시간) 푸드앤와인(Food & Wi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