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가 발생한 주택에 현관문을 강제로 개방한 소방서에 파손된 현관문 수리비를 요구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현관문 수리비를 대신 내겠다는 기부 문의가 쇄도했다.
25일 광주 북부소방서에 따르면 관련 뉴스가 보도된 지난 23일부터 현재까지 소방서에 방문 또는 전화로 현관문 수리비 기부를 문의한 개인과 단체가 17건에 달했다.
500여만원에 달하는 수리비 전액을 대신 내주겠다는 이도 있었고, 친구들과 함께 돈을 모았다며 성금을 하겠다는 학생들도 있었다. 기부를 문의한 이들 중에는 현장에서 고생하는 소방관들을 위해 영양제를 주고 싶다는 기업의 문의도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북부소방서는 광주소방본부 예산으로 수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며 기부를 받지 않고 있다.
앞서 지난달 11일 광주 북구 신안동 한 빌라 2층에서 불이 나 1명이 숨졌다.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은 출입문을 두드려도 반응이 없는 세대의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해 인명 수색작업을 벌였다.
이후 빌라 주민들은 소방관의 강제 개방 조치로 파손된 현관문과 잠금장치를 배상해달라고 소방당국에 요구해 논란이 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불에 뛰어드는 소방관이 보상 걱정까지 해서는 안된다"며 "주민의 불가피한 피해도 마찬가지다. 행정에서 책임질 것이다"고 밝혔다.
광주소방본부는 현관문과 잠금장치 수리비 500여만원에 대한 손실보상위원회를 열어 주민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북부소방서 관계자는 "소방관과 피해 주민을 위한 마음에 감사할 뿐이다"라며 "행정 예산으로 수리비 문제가 차질없이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