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망확충과 해상풍력 '대못' 뽑혔다...'에너지 3法' 국회 통과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8 11:00:36
  • -
  • +
  • 인쇄
▲27일 열린 국회 본회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부족한 전력망을 확충하고 해상풍력 사업입지를 정부가 주도하는 등 이른바 '에너지 3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앞으로 첨단산업에 필요한 에너지 수급을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됐다.

27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안,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안,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안이 통과됐다.

'국가기간전력망확충특별법안(전력망확충법)'은 정부가 송전선로 확충을 지원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전력망확충법'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인공지능(AI) 등 국가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기간 전력망 설비를 적기에 확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송배전망 포화상태로 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하더라도 이를 운반할 전력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입주할 첨단반도체 산업단지 역시 전력망 부족으로 전력공급에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이에 적기에 전력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법안을 마련한 것이다. 

정부는 앞으로 이 특별법에 따라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국가기간전력망 확충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 또 기업의 지방 이전을 유도하고 수도권 전력 집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된 전력은 생산지에서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해상풍력법'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사업 입지를 발굴하고 주민 수용성 확보, 각종 협의와 인허가를 일괄 처리하도록 해서 풍력이 많이 보급되도록 하자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풍력발전 지구 내에서는 해상풍력 발전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풍력발전 사업을 추진하는데 일정이 크게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준위방폐장법'은 원전 가동시 나오는 사용후 핵연료(고준위 방사상 폐기물)의 처리시설을 건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16년 이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지 9년만에 국회 문턱을 넘었다. 이 특별법으로 사용후 핵연료의 임시·중간 저장 시설과 영구처분장 등을 건설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마련했지만 지자체 협의와 주민 반대 등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적지않다는 지적이다.

전력망확충법과 고준위방폐장법은 공포 후 6개월, 해상풍력법은 1년 뒤부터 시행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