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CEO가 일냈다...美 민간탐사선, 두번째 '달 착륙'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3 11:11:05
  • -
  • +
  • 인쇄
▲2일(현지시간) 민간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가 달 표면에 착륙해 그림자를 드리운 모습(사진=NASA/Firefly Aerospace/연합뉴스)

한국계 CEO가 운영하는 기업의 탐사선이 사상 두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했다.

2일(현지시간) 미국 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이하 파이어플라이)의 무인 달 탐사선 '블루 고스트'(Blue Ghost)는 2일(현지시간) 달 착륙에 성공했다.

착륙 과정은 미 텍사스 오스틴 근처 파이어플라이 관제센터를 거쳐 미 항공우주국(NASA)의 스트리밍 채널 등으로 생중계됐다. 블루 고스트는 미 중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2시 34분 착륙에 성공했고, 이후 약 30분 만에 이 우주선에서 촬영한 달 표면의 사진 등 각종 관측 데이터를 지구로 보내기 시작했다.

한국계 최고경영자(CEO) 제이슨 김은 블루 고스트가 "안정적이고 똑바로 서 있다"고 전하며 "(달에) 착륙했을 때를 포함해 모든 것 하나하나가 시계 장치처럼 정확했습니다. 우리는 달 흙먼지를 부츠에 묻혔습니다(We got some moon dust on our boots)."라고 말했다.

민간 기업이 달 표면 착륙에 성공시킨 것은 이번이 역사상 두 번째다.

앞서 미국의 다른 우주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지난해 2월 '노바-C' 기종 '오디세우스'를 달 남극 인근 지점에 착륙시킨 바 있다. 다만 당시 오디세우스는 달 표면에 착지하는 과정에서 한쪽 다리가 부러져 옆으로 넘어지는 바람에 수명이 단축되고 임무를 완수하지 못해 '부분 성공'으로 기록됐다.

그에 비해 이번에 블루 고스트는 거의 완벽하게 달 착륙에 성공했다고 회사 측이 밝혀, 민간 달 탐사 역사에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NASA의 과학임무 탐사부문 책임자인 조엘 컨스 부국장은 블루 고스트의 달 착륙 후 기자회견에서 "오늘 파이어플라이가 보여준 것은 쉬워 보이지만, 사실은 엄청나게 어려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컨스 부국장은 "달 표면에 무언가를 착륙시키는 것은 엄청나게 어려운 기술적 위업"이라며 "여러분이 오늘 본 것은 NASA가 2018년부터 추진해 온 (CLPS) 모델이 성공적일 수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NASA는 달 탐사선을 직접 개발하기보다 민간업체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개발하는 방식이 더 저렴하고 빠르게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보고 2018년부터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 프로그램을 시작해 여러 업체와 계약을 맺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파이어플라이까지 총 3개 업체가 달 착륙선을 발사했다.

파이어플라이는 NASA와의 추가 계약에 따라 내년에 달의 뒷면에 탐사선을 착륙시키는 임무도 시도한다. 그동안 달 뒷면 착륙에 성공한 나라는 중국이 유일하다.

파이어플라이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와 블루 오리진, 버진 갤럭틱을 거친 우주항공 엔지니어 토머스 마르큐직 등이 2014년 설립한 스타트업 '파이어플라이 스페이스 시스템스'로 출발했는데, 마르큐직이 버진 갤럭틱의 영업비밀을 훔쳤다는 내용의 송사가 제기되면서 투자자 이탈로 한때 경영난에 빠지기도 했다.

이후 2017년 회사명을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로 바꿨고,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AE 인더스트리얼 파트너스'가 지난해 10월 제이슨 김을 CEO로 영입해 회사 경영과 기술 개발을 재정비했다.

김 CEO는 미 공군사관학교 출신으로 항공우주·방산업체 노스럽 그러먼, 레이시온 등을 거쳐 보잉 자회사인 '밀레니엄 스페이스 시스템스' CEO로 있다가 파이어플라이로 자리를 옮겼다.

한편 최근 몇 년 사이 미국을 비롯해 세계 주요 국가의 정부와 민간 기업들이 달 탐사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지난 1월 15일 블루 고스트와 함께 같은 로켓에 실려 발사된 일본 기업 아이스페이스의 '리질리언스'(Resilience)도 블루 고스트와 다른 경로를 거쳐 현재 비행을 이어가고 있으며 오는 5∼6월께 달 착륙을 시도할 계획이다.

아이스페이스는 2023년 4월에 달 착륙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바 있다.

또 지난해 달 착륙에 처음으로 성공한 미국 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도 지난달 26일 두 번째 달 탐사선 '아테나'를 발사했으며, 이 우주선은 오는 6일께 달 남극 분화구 인근의 고원 지대에 착륙을 시도한다.

아테나의 착륙 목표 지점은 역대 달 탐사 임무 중 남극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 달 남극의 물(얼음)이나 가스, 기타 광물 자원의 잠재적인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이 탐사의 목표다.

지금까지 달 표면에 우주선을 착륙시키는 데 성공한 나라는 미국을 비롯해 러시아(옛 소련), 중국, 인도, 일본 등 5개국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기후/환경

+

'양산' 쓰는 남자가 늘고 있다..."사막같은 햇빛 그늘막으로 제격"

여자들만 주로 사용하던 '양산'이 38℃를 넘나드는 폭염에 남자들도 여름 필수템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

AI로 탄소포집하는 콘크리트 찾아냈다

수백 년간 공기 중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찾아냈다.23일(현지시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비터비공과대

불볕더위 '아차'하면 온열질환에 쓰러져...폭염 안전수칙은?

전국 곳곳에 폭염경보 혹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폭염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폭염주의보는 최고 체감온도 33

EU·중국 '기후리더십' 주도권 노리나?…'기후협력' 공동성명 채택

미국과 대척점에 서있는 중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기술을 공동보급하기로 하는 등 협력관계를 더욱 밀착시키고 있다.24일(

산불 1년만에 한달 두차례 홍수...美 뉴멕시코주 마을의 수난

미국 뉴멕시코주 루이도소 마을이 또 물에 잠겼다. 이달에만 벌써 두번째 홍수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루이도소 일

폭염에 차량 방치하면 실내온도 90℃까지...화재·폭발 막으려면?

차량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90℃까지 치솟으면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폭염시 차량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5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