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머리수리와 싸우는 캐나다거위..."미국과 캐나다 싸움판 보는듯"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6 15:10:01
  • -
  • +
  • 인쇄
▲캐나다 온타리오주 벌링턴의 한 호수에서 큰캐나다기러기가 흰머리수리에 맞서 싸우고 있다. (사진=머빈 세케이라)

큰캐나다기러기가 미국의 국조 흰머리수리와 싸워 이기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 모습은 현 미국과 캐나다간의 알력 싸움에 비유되며 화제가 되고 있다.

5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캐나다의 사진작가 머빈 세케이라는 큰캐나다기러기와 흰머리수리가 다투는 모습을 포착했다.

세케이라는 어느 아침 캐나다 온타리오주 벌링턴의 얼어붙은 호숫가에 나갔다가 흰머리수리 한 마리가 호수로 내려오는 모습을 발견했다는 것. 그는 "수리가 사냥 중임을 직감하고 주변을 둘러보니 무방비 상태의 큰캐나다기러기 한 마리가 보였다"며 "흰머리수리가 오리에서 사향쥐까지 많은 동물을 사냥하는 것은 봤지만 기러기만큼 큰 동물을 노리는 모습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덧붙였다.

세케이라는 20분간 두 새의 싸움을 카메라에 담았다. 그는 처음엔 흰머리수리가 기러기를 일방적으로 사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결과는 반전이었다. 기러기는 자신을 향하는 수리의 발톱을 피하고 반격에 나섰다. 수리가 여러 차례 공격해도 기러기는 굽히지 않았고, 결국 패배한 흰머리수리는 날아갔다.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의 주권을 위협하고 있는 가운데, 두 나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 새의 싸움은 미국과 캐나다 간 긴장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지난 4일 트럼프는 캐나다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여기에 캐나다를 51번째 주라고 조롱하며, 캐나다를 미국에 합병하겠다고 대놓고 떠들었다.

하지만 사진을 찍은 사진작가 세케이라는 사진에 상징을 부여하는 것에 조심스럽다는 입장이다. 세케이라는 "이번 일은 우연의 일치로 전혀 놀랍지 않다"며 "저는 자연주의적 관점과 야생동물 사진작가의 관점에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사람들이 특정 사물을 현재의 맥락에서 보는 것 또한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이번 싸움은 캐나다의 끈기있는 성격과 위협을 받았을 때 물러서지 않는 태도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기후/환경

+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경북산불 연기 200㎞ 이동했다...독도 지나 먼바다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가 강풍을 타고 최초 발화지에서 최소 200㎞ 넘게 떨어진 동해 먼바다까지 퍼졌다.1일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와 대구

경북산불 피해 '눈덩이'...3700여채 불타고 3300명 터전 잃어

경상북도 북부에서 발생한 산불로 주택 3700여채가 불에 타고 주민 3300여명이 귀가하지 못하는 등 산불 피해규모가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1

벌써 나타난 '빨간집모기'...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벌써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지난 27일 제3급 법정 감염병인 일본뇌염 주의보를 전국

잿더미로 변한 산…"생태계 복원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

이번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산림이 원상태로 복귀되는데 100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31일 "올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