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4-09 15:48:06
  • -
  • +
  • 인쇄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는 추세이고, 여성 사외이사 비중은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9일 한국ESG평가원은 국내 100대 상장기업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사외이사 200명에 대한 연령과 성별, 재선임·겸직 비율 그리고 전·현 직업 등 인적사항을 전수분석한 '2025년 선임 사외이사 구성현황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에 달했고, 2개 상장사에 사외이사를 동시에 맡는 겸직 사외이사도 32%였다. 여성 비중은 31%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고, 이공계 교수 비중도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분석에 따르면 올해 100대 상장기업 주총에서 선임된 사외이사 가운데 교수(연구직 포함)가 전체의 51%를 차지했다. 이어 법무법인(13%), 민간기업(12%), 회계법인(2%) 순이었다. 사외이사 외에 다른 직업이 없는 이사의 비중은 15%였다. 교수의 비중이 지난해 44%에서 큰 폭으로 늘었다.

교수 전공별로 경영학이 31%로 가장 많았고, 경제학(25%), 이공계(24%), 법학(15%)순이었다.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공계 교수 출신 사외이사 비중은 2023년 20%에서 2024년 22% 등으로 추세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경영학 전공 비중은 2023년 32%, 2024년 40%로 높아졌다가, 올해에는 31%로 다시 낮아졌다.

법무법인 소속의 사외이사 비중은 2023년 36%에 달했으나, 2024년 16%로 크게 하락했고, 2025년에는 13%로 더욱 낮아졌다. 그 빈자리를 대부분 교수가 채우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이공계 교수의 진출이 활발한 상황이다.

고무적인 현상은 100대 기업이 선임한 여성 사외이사 비중은 2023년 25%, 2024년 28%에서 올해는 31%로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22년 8월 개정된 자본시장법 시행으로 자산 2조원 이상의 상장기업은 특정 성별로만 이사회를 구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적어도 1명 이상의 여성이사가 필수조건이 된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위반시 처벌 조항이 없기 때문에 100% 시행되지는 않고 있지만 ESG 경영 평가에서 감점을 받지 않기 위한 기업들의 움직임은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평가원은 "2022년 이전에 희소했던 여성 사외이사가 올해 30%를 넘어선 것은 괄목할 변화"라며 "수요가 늘어난 만큼 여성 사외이사 풀(Pool)의 확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사외이사의 과거 직업 역시 교수 비중이 40%로 가장 높았다. 현직 교수들의 과거 직업도 대부분 교수이기 때문에 교수 비중이 높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어 민간기업인(19%), 관료(18%), 법조인(14%) 순으로 많았다. 2024년 기준 민간기업인 출신은 11%에 그쳤으나 올해 대폭 상승해 관료·법조인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손종원 한국ESG평가원 평가부문장은 "관료·법조인 출신 사외이사는 일종의 로비스트 역할을 함으로써, 대관업무 및 법률 리스크 해소에 도움을 주는 역할이고, 전문경영인 출신 사외이사는 회사 경영과 직결되는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사외이사 본래의 역할에 보다 충실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며 "민간기업 전문경영인 출신의 사외이사 비중이 크게 높아진 것은 긍정적 변화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조사대상 사외이사 200명의 평균 연령은 60.3세였다. 지난해 61.1세에 비해 0.8세 낮아졌다. 최고령은 BNK금융지주의 이광주 이사(74), 최연소는 카카오의 박새롬 이사(35)였다. 60대가 전체의 54%를 차지했고, 70대가 8%로 60세 이상의 사외이사 비중이 62.5%로 지난해(65.1%)보다 줄었다. 

사외이사 겸직자도 64명에 달했다. 전체의 32%가 겸직하고 있다. 29명의 금융지주사 사외이사를 모수에서 제외할 경우, 겸직 비율은37%로 더 높아진다. 하이브의 경우, 선임한 4명의 사외이사 모두 겸직 상태였고, 지주사 SK와 엔씨소프트도 선임한 2명의 사외이사 모두가 겸직이었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도 54%에 달했다. 사외이사 임기는 2020년 상법 시행령 개정으로 최장 6년을 초과할 수 없다. 경영진과 유착해 감시와 견제 기능이 약화되고 독립성 유지가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였다. 평가원은 "사외이사 임기제한으로 앞으로 신규 선임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으나, 재선임 비중이 오히려 높아진 것은 정책 방향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평가원은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 기업의 거버넌스 개선을 위해서는 이사회 중심 경영과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이사회 구성이 선행되어야 한다"며 "사외이사 구성이 지배구조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사외이사 구성 현황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기업 내외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ESG평가원 허창협 평가위원은 “교수 출신이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대관 업무에 기여하는 관료·법조인 출신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현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며 “다만, 교수 중 이공계 출신이 증가하고, 전문경영인 출신이 추세적으로 늘고 있는등 긍정적인 변화도 일부 감지된다”고 진단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현대백화점그룹, 48명 임원인사..."변화보다 안정성에 방점"

현대백화점그룹이 30일 사장 1명, 부사장 2명을 포함해 승진 27명, 전보 21명 등 총 48명에 대한 정기 임원 인사를 2026년 1월 1일부로 단행했다. 인사 폭은

SK AX, 김완종 CCO 사장으로 승진..."AX 이끌 적임자"

SK㈜ AX는 김완종 최고고객책임자(CCO)를 신임 사장으로 승진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국내 산업 전반에서 AX(AI Transformation) 확산이 본격화되고 기업들의

SKT 사령탑 교체...신임 CEO에 정재헌 사장 선임

SK텔레콤은 정재헌 대외협력 사장을 신임 CEO로 선임했다고 30일 발표했다.정재헌 신임CEO는 법조인 출신으로 2020년 법무그룹장으로 SKT에 합류했다. 2021

기후/환경

+

호주 봄날씨 실화냐?...한낮 기온이 46℃ '지글지글'

호주 북부지역이 봄철인 10월에 40℃를 웃도는 폭염을 겪고 있다.호주 기상청(BoM)은 북부 지역인 퀸즐랜드주와 노던 준주의 일부 지역이 올해 가장 더운

폭염에도 실내온도 6℃ '뚝'…호주에서 옥상용 냉각코팅제 개발

폭염에 실내온도를 낮을 수 있는 옥상 코팅기술이 새로 개발됐다.호주 시드니대학교 연구진은 폭염시 실내온도를 최대 6℃까지 낮출 수 있는 옥상용

[주말날씨] 단풍 보러갈 수 있을까...'가을비' 내린 후 쌀쌀

11월 첫 주말은 단풍이 물들며 완연한 가을날씨지만, 곳곳에 비가 내린 후 다시 초겨울 날씨가 오겠다.1일은 전국이 오전까지 대체로 흐리다가 오후부

“기후위기 시대, 아이 낳기 두렵다”…출산 기피하는 美 Z세대

기후위기에 대한 불안이 미국 젊은 세대의 출산 결정까지 흔들고 있다.피유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미시간대 사회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조

1분마다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온난화로 年54.6만명 목숨잃어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인구 가운데 1분에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난화에 따른 영향으로 90년대에 비해 23% 증가한 54만6000명의 전

섬나라 쑥대밭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4일만에 괴물로 변한 이유

카리브해 섬나라들을 쑥대밭으로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Melisa)가 짧은 시간에 역대급 초강력 폭풍우로 발달한 것은 '해양온난화'가 원인으로 꼽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