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
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독소 공동조사를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조사는 그동안 환경단체 조사결과에서 공기중 조류독소가 검출됨에 따라 지역 주민들의 불안이 있었고, 이에 따라 투명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이다.
환경부와 환경단체는 그동안 공동조사를 위한 협의를 오랫동안 진행했으나, 끝내 공동조사에 이르지 못한 바 있다.
새정부 출범 후 공동조사 협의를 재개해 이번에 공동조사를 실시하게 된 것이며, 이에 따라 환경부와 시민사회간의 관계가 복원되고 녹조 관리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조사는 환경부와 환경단체의 협의에 따라 국립환경과학원과 경북대학교가 조사기관으로 참여해 동일한 조사 지점과 방법으로 진행된다. 공기중 시료 채취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진행하고 시료 내에 조류독소 분석은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도핑콘트롤센터에서 진행한다.
조사대상은 낙동강 본류 구간 5개 지점이며, 각 지점에서 원수와 공기중 조류독소를 모두 조사할 예정이다. 시료를 채취할 5개 지점은 △화원유원지(대구 달성군 일원)와 △달성보선착장(대구 달성군 일원) △본포수변공원(경남 창원시 일원) △남지유채밭(경남 창녕군 일원) △대동선착장(경남 김해시 일원)이다. 각 지점별로 4차례 채취한다.
시료 채취는 국립환경과학원과 경북대학교가 9월 내로 완료하고 시료에 대한 분석을 연내 마무리한 후 환경부와 환경단체가 공동으로 조류독소 조사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올해 조사결과를 토대로 2026년 원수, 공기중 등에 대한 조류독소 공동조사 방향을 협의·결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환경부는 관계기관, 시민사회 및 전문가 등과도 협의체를 구성하고 녹조 문제 해법을 지속적으로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낙동강 유역의 '녹조 독성' 문제는 꾸준히 제기된 바 있다. 환경단체들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발생한 녹조에서 청산가리의 6600배에 달하는 독성물질이 검출됐다. 특히 이 독성물질은 낙동강 인근 주민들 몸에서도 검출돼 충격을 주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