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8 12:04:08
  • -
  • +
  • 인쇄
▲기후솔루션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자료=기후솔루션)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

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우리나라 온실가스 국제권고안인 2035년까지 60%로 감축하는 것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17.2%가 '매우동의' 44.6%가 '동의하는편'이라고 답했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도 28.1%로, 이를 다 합치면 89.8%가 된다. '동의하지 않거나 전혀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 비율은 10.3%에 머물렀다.

'동의한다'고 답한 응답자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이미 폭염, 홍수, 산불 등이 심각해지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고 답한 사람이 50.7%를 차지했다. "미래 세대를 위해 지금 세대가 책임지고 온실가스를 줄여야"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42.6%, "기후위기 대응이 늦어질수록 비용과 사회적 피해가 커지기 때문에"이라고 답한 비율도 40.0%에 달했다.

이재명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추진' 정책에 대한 지지 여부에서도 69.4%가 '지지한다'고 답해 '지지하지 않는다'는 16.6%의 응답률을 훨씬 앞질렀다. 이재명 정부의 기후대응 의지에 대한 질문에서도 45.3%가 높게 평가했다.

'기후변화 체감 정도'에 대해선 대다수가 이미 몸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실히 체감하고 있다'는 응답률이 33.3%에 달했고 '대체로 체감하는 편이다'는 응답율도 55.9%였다. 응답자의 89.2%가 기후변화를 이미 몸소 겪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건강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으로 보인다. 관련 질문에서 응답자의 80.7%가 '그렇다'고 답했다. 같은 기준으로 경제가 영향을 받고 있다는 응답도 77.9%였으며, 10명 가운데 7명(70.8%)도 주거지역이 이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현재 정부는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제출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를 수립중이다. 앞서 우리나라는 '2030 NDC'에서 감축목표를 2018년 대비 40%로 잡은 바 있다. 이에 따라 2035 NDC 감축목표를 이보다 훨씬 높은 60% 이상으로 수립해야 한다는 요구가 국회와 시민환경단체들로부터 잇따르고 있다.

기후솔루션은 "이번 설문조사가 보여주듯 정부는 2035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60% 이상으로 정해야 한다는 것이 다수의 분명한 의견"이라며 "정부는 이번 목표가 기후위기 대응은 물론 경제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전제라는 점을 인식하고 4개 안 가운데 61% 이상의 목표를 선정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

글로벌 항암제 개발기업 'HLB'와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HLB사이언스'가 합병한다.HLB와 HLB사이언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르포] 플라스틱을 바이오가스로?...'2025 그린에너텍' 가보니

17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막한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의 주요 테마는 '바이오플라스틱'이라고 할 수 있었다.올해 4회를 맞이하는 그린에너텍

기후/환경

+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美 트럼프 법무부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법무부가 석유화학 대기업에 기후피해를 배상하게 하는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하려는 것으로 드러났다.17일(현지시

강릉 가뭄 '한숨 돌렸다'...'단비' 덕분에 저수율 23.4%까지 회복

한때 11%까지 내려갔던 강릉의 저수율이 지난 수요일 내린 폭우 덕분에 18일 오전 6시 기준 23.4%까지 회복됐다. 아직도 평년 저수율 71.8%에 크게 못미치는

폭염 '조용한 살인자'...유럽과 호주, 온열질환 사망자 급증

북반구와 남반구 할 것 없이 기후변화로 뜨거워진 폭염에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다. 올여름 유럽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 3분의 2는 지구온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