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환경부 온실가스 배출 명세서와 각 기업의 공시보고서·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을 종합하고 직접배출(스코프1)과 간접배출(스코프2)을 합산한 수치를 기준으로 산정한 결과, 매출 상위 201개 국내 기업의 2024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9년에 비해 14.7% 감소했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4억9153만톤(t)에서 2024년 4억1951만t으로 5년 사이에 약 7000만t가량 줄었다. 같은 기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도 7억5940만t에서 6억9158만t으로 감소했으며, 이에 따라 201개 기업 배출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4.7%에서 60.6%로 4.1%포인트(p) 낮아졌다.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세는 이어지고 있지만 '2030 NDC' 달성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앞서 정부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국제사회에 제시한 바 있으나 현재까지 감축률은 약 11.8%에 불과하다. 앞으로 28.2%를 더 감축해야 하지만 지금과 같은 속도라면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리더스인덱스는 "2030 NDC 달성을 위해선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60%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감축에 나서야 한다"며 "기업 총 배출량은 줄어들었지만 감축에 성공한 기업은 절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번에 조사된 201개 기업 가운데 5년간 배출량이 줄어든 기업은 106곳, 늘어난 기업은 95곳이었다. SKC, SK케미칼, 한화 등 전통적으로 배출 비중이 큰 '굴뚝산업'에서 감축이 두드러졌지만, 엘앤에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에너지 사용이 늘어난 신산업에선 오히려 배출량이 늘었다.

가장 큰 감소율을 보인 기업은 SKC로 2019년 17만3964t에서 2024년 1437t으로 99.2% 감축에 성공했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온산공장을 매각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어 DL이앤씨가 77.6%, 한화 64.0%, LG전자 62.4%, 아모레퍼시픽 61.3%, LG전자 54.8% 순으로 감축율이 높았다.
감소량으로 보면 발전 5사를 비롯해 포스코, LG디스플레이, 현대제철, OCI, 롯데케미칼 등이 크게 줄었다. 공기업 가운데 한국남동발전이 5년간 약 2269만t을 감축해냈고, 민간기업 중에선 포스코가 940만t을 감축해 절대 감소량이 가장 컸다.
반면 2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기업인 엘앤에프는 2019년 3만t에서 2024년 14만t으로 배출량이 5배 가까이 늘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방산 합병 영향으로 배출량이 300%넘게 뛰었고, 이밖에도 에코프로비엠 221%, 롯데지주 215%, 일진글로벌 196%, 제이셋스태츠칩팩코리아 190%, HD현대케미칼 188.3% 등 세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였다. 절대 배출량이 가장 많은 것은 HD현대케미칼로 5년간 177만5926t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보험으로, 5년 사이 4만t에서 7만t으로 82.2% 늘었다. 대표적으로 삼성생명이 1만8740t에서 3만7609t으로 2배 가량 늘었다. 이밖에도 제약 73.7%, 증권 55.6%, 서비스 43.5%, 조선·기계·설비 22.7, 통신 15%, 운송 9.6%, 2차전지 3.5%, 에너지 2.2%, 식음료 1.6% 등이 증가세를 보였다.
리더스인덱스는 "산업구조 개선을 통해 실질적 감축에 한층 속도를 내지 않는 이상 2030 NDC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