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도 해역에서 신종 요각류 2종이 발견됐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지난 9월초 독도 주변 암초(가재바위, 해녀바위, 독립문바위 등)와 모래 퇴적물에서 이번 신종을 확인해 국제 학계에 보고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게나 새우와 같은 갑각강(절지동물문)의 한 분류군으로 물이 있는 거의 모든 환경에 분포하는 동물성 플랑크톤이다. 요각류의 '요각'은 '노를 젓는 다리가 있다'는 뜻으로, 헤엄치기에 적합한 형태의 다리를 지녔다.
몸길이는 보통 1~4mm로 매우 작아 현미경을 통해서만 관찰이 가능하며, 개체수가 많아 어류의 주요 먹이원이 된다. 우리나라에는 6개 목에 걸쳐 1200여 종의 요각류가 보고됐다.
이들 신종은 절지동물의 한 종류인 갈고리노벌레목(Harpacticoida)에 속한다. 이 가운데 한 종은 기존 분류체계에 새로운 '과(new family)'로 국제 학계에 제안할 수 있는 신분류군이다.
나머지 한 종도 동일목에 장군여왕노벌레과(Thalestridae) 내에서 새로운 '속(new genus)'으로 제안될 만큼 형태적 특징이 뚜렷한 신종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들 신종은 독도의 특이한 퇴적물 환경에 적응해 살아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고립된 화산섬인 독도에서 독자적으로 진화한 요각류 신분류군 신종이 발견되는 것은 우리나라 생물의 기원과 분포를 밝히는 섬생물지리학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신종 2종의 연구 결과를 정리해 국제 학술지에 내년 상반기 안으로 투고할 예정이며, 정식 게재를 통해 해당 신종의 '신과·신속' 제안을 공식화할 계획이다.
김종국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전임연구원은 "이번 신종 발견은 10월 25일 독도의 날을 맞아 특정도서 1호인 독도의 생물다양성 가치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국가생물주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독도는 물론 다른 특정도서 지역의 새로운 자생생물 발굴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