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이 그간 우리나라에 알려지지 않았던 땅속버섯 32속 181종의 유전자 정보를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대표적으로 알려진 땅속버섯으로는 송로버섯(트러플)이 있다. 송로버섯이 포함된 '덩이버섯속(Tuber)'은 그간 우리나라에는 3종만이 보고됐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신종 18종의 서식이 확인됐다.
이를 포함한 141종은 세계적으로도 처음 확인된 신종 후보이며, 나머지 40종도 우리나라에 서식 정보가 없던 미기록종 후보다.
생태계에서 식물과 공생하면서 생육을 돕는 균류인 엘라포마이세스속(Elaphomyces)에 속하는 버섯에서도 신종 후보 18종, 미기록종 후보 6종이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9년부터 서울대학교 임영운 교수팀과 함께 우리나라 토양에 서식하는 균류를 확인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국 643개 지점의 토양을 분석해 총 4479종의 국내 서식을 확인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연구 결과를 이달내 미생물학 관련 저명 국제학술지 '비엠씨 마이크로바이올로지(BMC Microbiology)'에 투고할 예정이다.
유호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전국 단위 토양균류 분석을 통해 국내 최초로 땅속 버섯과 식물 공생균류 등의 분포 현황을 확인함으로써, 종 보전과 토양생태계 관리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