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진단키트부터 드라이브스루까지 신속하고 기발한 방역 시스템으로 전 세계를 놀래킨 한국의 방역시스템. 이른바 K-방역의 선진적 시스템이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 바이러스. 현자까지 감염자는 2,915만 5,581명(9월 16일 현재)으로 지구촌 인구 약 73억 9000만 명 가운데 0.35%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 그 중 미국은 약 646만, 인도는 약 493만, 브라질 433만 명이 감염됐을 정도로 코로나의 위험성은 심각하다.
한국도 위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올 2월 신천지 신도들을 중심으로 2주 만에 약 8,000여 명이 감염된 1차 대유행 위기, 8월 15일 광화문 집회 참석자들을 중심으로 3주 만에 약 6,000여 명이 감염된 2차 대유행 위기를 겪기도 했다.그러나 대규모 봉쇄조치를 피해가며 제학적이나마 일상생활을 이어가며 팬데믹(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 위기를 헤쳐나가고 있다.
한국이 대유행 위기를 넘길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코로나19 진단키트에서 방역시스템의 혁신을 이뤘다. 기존 코로나 검사방법은 결과를 얻기까지 24시간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국내 기술진은 '실시간 유전자 증폭진단법'을 개발, 진단에서 결과까지 6시간으로 단축시켰다. 또 더 진화한 진단키트를 개발, 하루 검사 건수를 160건에서 2000건 까지 늘리며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큰 공을 세웠다.
이어 신속한 검사와 감염 예방을 위한 '선별진료소'가 도입됐다. 1세대 선별진료소는 바로 '드라이브 스루(Drive-Thru)'. 차에서 내리지 않고 검체를 채취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검사시간을 30분에서 10분으로 줄였다.이같은 획기적 방법에 SNS를 중심으로 한국식 방역, 이른바 'K-방역'에 찬사가 쏟아졌다. 많은 해외 네티즌들이 자국에 드라이브 스루 검사 방식을 요구했고, 미국, 영국, 독일 등 세계 각국에서 드라이브 스루 방식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한국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새로운 선별진료 방식을 고안해냈다. 바로 '워크 스루(Walk-Thru)' 선별진료소다. 워크스루는 넓은 공간과 차량이 필요한 드라이브 스루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으로 의료진과의 접촉없이 걸어서 코로나 검사를 할 수 있는 방식이다. 검사시간 역시 줄여, 3분 만에 검사를 마칠 수 있게 만들었다.코로나19 발생 후 10개월, K-방역은 또 한 번의 혁신을 선보였다. 검사에 필요한 장비들을 차량에 싣고, 검사자들을 찾아다니는 '이동식 선별진료소'가 등장한 것이다.
이를 최초로 고안한 김일구 구로구보건소 전 감염병예방팀장은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비가 와서 선별진료소 장소를 옮겨야할 상황에 안전하게 이동할 효율적인 방법을 고민했다"며 "어디든지 출동 가능한 이동식 차량진료소를 제작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진료소가 직접 검사자를 찾아가게 됨으로써 확진자를 찾아내는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진단키트에 이어 1,2,3세대 선별진료소로 혁신과 발전을 거듭해온 한국 만의 방역시스템 'K-방역', 그 진화의 끝은 어디일까. 새로운 변화가 자못 기대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