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문도 광고판...LG '올레드 자동문' 선보인다

박유민 기자 / 기사승인 : 2020-12-09 12:11:32
  • -
  • +
  • 인쇄
매장, 박물관, 지하철, 스튜디오...다양한 장소에서 활용 가능
유리문이 닫혀있으면 다양한 영상이 나오고, 사람이 다가가면 영상이 사라지면서 문이 열리는 자동문이 조만간 대중화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글로벌 자동문 전문업체인 아사아블로이(Assa Abloy)와 투명 올레드(OLED) 자동문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자동문 시장에 뛰어든다고 9일 밝혔다.

LG전자는 우선 138cm(55인치) 투명 올레드 사이니지(모델명 55EW5G)를 적용한 자동문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사이니지의 대표적인 사례로 옥외 광고판을 들 수 있다.
▲투명 올레드 자동문에 웰컴 메시지를 띄운 사진

스웨덴에 본사를 둔 아사아블로이는 영국 런던 히드로 공항, 스페인 바르셀로나 공항 등 해외 주요 공항에 자동문을 공급했고, 국내서도 인천국제공항, 해운대 엘시티 등 대형 건축물에 자동문을 설치한 바 있다.

OLED와 LCD의 가장 큰 차이는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가이다. OLED는 LCD와 달리 화소 하나하나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없다. 따라서 두께가 얇아 구부리거나 휠 수 있다. 자체발광 특성으로 스스로 빛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화질도 뛰어나다. 또한 OLED는 순간적으로 빛을 조절하므로 응답속도도 빠르다.

이런 OLED가 적용된 자동문은 광고를 띄우거나 웰컴 메시지, 건물 정보 등을 고객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어, 다양한 장소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들어 투명 올레드는 호텔 체크인 카운터, 매장, 상담부스 등 고객 상호작용이 중요한 장소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박물관, 지하철, 매장, 스튜디오 등에 설치하여 광고 효과를 낼 수 있다. 향후 자율주행차나 항공기 객실 인테리어에도 활용할 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기후/환경

+

유해기체 제거하는 '촉매' 개발...대기오염 저감기술 새 장

미세한 백금 원자를 이차원 신소재에 고르게 퍼뜨려 일산화탄소 등 유해 기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 백금 촉매보

시간당 100㎜ 퍼붓는데...시간당 50㎜ 배수시설 괜찮나?

기후변화로 시간당 50~100㎜에 이르는 '극한호우'가 매년 반복되는 것에 대비해 도시의 하수관로를 비롯한 빗물처리시설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지

'산림 벌채'...홍수 최대 18배 더 자주 발생시킨다

산림을 벌채하면 극심한 홍수가 최대 18배 더 자주 발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BC) 산림학부 헨리 팜 박사 연구팀

상반기 전세계 보험손실액 117조원 '역대 최대'...절반이 美산불 손실액

올 상반기 자연재해로 전세계 보험손실액이 840억달러(약 117조6000억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상반기 보험손실액 가운데 최고치다. 미

"기상이변에 야외공연은 위험해"...美록밴드 스티브 밀러 투어 취소

미국 록밴드 스티브 밀러밴드가 올여름 예정됐던 북미 투어 일정을 전면 취소했다. 극심한 폭염과 산불, 예측 불가능한 폭우 등 기상이변이 이유다.밴

극한폭우가 산사태 피해 키웠다..."비는 그쳤지만 산사태 위험 여전"

5일간 이어지던 '극한폭우'는 멈췄지만 빗물을 머금은 토사가 무너져내리는 산사태 위험은 여전하다. 이에 산림청은 여전히 전국 12곳에 산사태 경보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