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요원할 것같았던 '디지털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우리 일상 속으로 성큼 다가왔다. '재택근무'에 부정적이던 많은 기업들이 코로나 사태로 자연스럽게 재택근무로 전환했고, 온라인쇼핑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며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던 사람들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온라인쇼핑을 경험하게 됐다. 코로나19는 우리 사회를 비대면 언택트 사회로 순식간에 이동하게 만들었다. 갑작스러운 변화에 기업들도 당황하고 있다. 앞으로의 10년,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또 앞으로 10년을 주도할 기술은 무엇일까.
온라인으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박람회 'CES 2021'에서 12일(현지시간) '재창조된 미래'(The future reimagined)를 주제로 열린 세션에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댄 로스 링크드인 뉴스편집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 세션의 토론자로 마이클 미에바흐 마스터카드 최고경영자(CEO)와 줄리 스위트 액센츄어 CEO가 화상으로 참여했다. 그들이 말하는 '앞으로의 10년'을 정리해봤다.
◇ 10년 이끌 기술트렌드는?···"클라우드·AI·5G"
줄리: 혁명적인 기술변화가 진행되는 와중에 코로나19가 터졌다. 하룻밤 사이에 기술이 말그대로 생명줄이 돼버렸다. 코로나 초기만 해도 우리가 컨설팅해주는 CEO들 대부분은 "우리 회사 몇몇 부서는 원격근무 절대 못한다"고 말했지만 이제 태도가 바뀌었다. 기술적 관점에서 2개가 큰 축이 될 것이다.
첫째, 어떻게 회사를 운영할지, 또 소비자들을 위해 기업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가 많이 바뀔 것이다. 코로나 이전에도 '클라우드로의 전환'은 큰 트렌드였지만 한 10년은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런데 오늘보니 산업 전반에 걸쳐 20% 가까이 클라우드로 전환했더라. 2025년까지 80%가 전환될 것이라고 하니, 가속도가 엄청나게 붙고 있다.
둘째 축은 인공지능(AI)의 역할이다. 코로나가 터진 이후에 많은 사람들이 정부에게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기 시작했고, 정부는 이를 감당하기 위해 어느순간 AI를 이용해 답변하기 시작했다. 기업들의 공급체인도 붕괴되고 소비자들의 행동양상도 변화되고 있다. 앞선 기업들은 이를 예측하기 위해 AI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코로나 이전부터 클라우드로 앞서가고 AI를 활용하는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과 앞으로 12개월이나 18개월 이후 더욱 차별화될 것이다.
그리고 세번째 축은 '5G'다. 최근 액센츄어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기업 간부 10명 중 8명이 5G가 그들 기업에 획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믿고 있고, 57%는 혁명적일 것으로 답했다. 코로나 이전 기업들은 5G가 훨씬 더 오래 걸릴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지금 기업들은 5G가 기업의 공급체인을 바꾸는 등 매우 빠르게 비즈니스 변혁을 가져다줄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기업의 CEO가 5G가 자기 산업분야, 또는 자기 회사에 미칠 영향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뭔가를 놓치고 있는 것이다. 수술이나 자율주행 등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코로나 이후에도 재택·전자상거래 커질 것"
마이클: 코로나 사태가 터진 이후 지금까지 소비자들의 행동변화를 보면 매우 극적이다. 수년에 걸쳐 일어날 '디지털' 가속이 단 몇 개월만에 일어났다. 지난해말 13%에 머물렀던 미국 전자상거래는 이제 20%로 늘었다. 지각변동이 일어난 것이다. 사람들이 집에 머물면서 전자상거래를 쓰도록 강요받은 결과다. 2020년 4월부터 매달 시장조사를 한 바에 따르면, 코로나가 잦아지더라도 디지털 결제와 온라인 소비를 계속하겠다는 사람이 증가했다. '전자상거래'가 추세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줄리: 소비자들의 온라인 활동이 늘어날수록 기업들은 클라우드와 AI 등 기술을 더 빨리 채택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압축 붕괴'(compressed disruption)가 일어날 수 있다. 기업은 전자상거래부터 원격근무까지 모두 도입하려면 순차적인 변화로는 안된다. 일순간 변혁해야 한다. 올 1월 조사에 응답자의 65%가 코로나 이후에도 풀타임 재택근무를 하고 싶다고 밝혔다. 또다른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15%는 오프라인 매장을 절대 이용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10대 산업분야의 8000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채택 범위, 깊이, 리더십, 기업문화 부문으로 평가했을 때 상위 10%가 하위 25%에 비해 2배 더 잘하고 있었다. 이 차이가 말 그대로 하룻밤 사이에 벌어졌다. 상위 10%가 하룻밤 사이에 디지털적으로 경쟁 우위를 가졌는데, 문제는 앞으로 그것을 계속 활용하고 기회로 삼을 수 있는가이다. 리더십도 중요한 문제다. 그저 단순히 기술을 적용하는 게 아니라 압축붕괴를 할 수 있는 용기 그리고 의지, 겸손함이 중요하다.
◇ "디지털 불평등, 해소해야 될 문제"
마이클: 더 큰 생태계를 생각한다면 상위 10%와 하위 25% 사이의 균열이 더 벌어지지 않을 것이다. 소비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집에서 편안하고 싶은 소비자들이 있지만 그런 선택지도 없는 소비자들도 있다. 그들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디지털에 참여할 수 없다면 더이상 선택지가 없다. 기업은 더 많은 사람들을 (디지털로) 끌어들이도록 할 수 있는 일이 더 있다고 생각한다. 금융상품과 서비스에 접근하고 이용할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하거나 프리랜서같은 사람들이 변화하는 소비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그렇게 한다면 모두를 위한 '디지털 경제'가 마련될 것이다.
전세계가 온라인으로 이동했다. 소비자들은 온라인 활동이 꽤 쉽다는 걸 파악했다. 안전과 데이터를 얼마나 제공할지는 의문이 들지만 어쨌든 디지털 신세계에 '신뢰'가 있다는 걸 보장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10년에 디지털 신세계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디지털 신원, 보안, 데이터 원칙 등 범국가적으로 이같은 논의가 필요하다.
줄리: 개인정보침해나 디지털 양극화를 어떻게 줄일 것인가가 대두되고 있다. 인터넷 접속, 전자상거래, 원격근무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세계적으로 작동하는 디지털 경제를 구축하려면 근본적으로 법칙이 바뀌어야 한다. 미국에서는 흑인가정의 3분의 1이 인터넷 접속을 못한다. 그게 직업이나 교육 측면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다. 번영하는 세계 경제를 보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재고하고 기업들이 다른 방식으로 정부와 비영리단체와 협업할 수 있어야 한다.
마이클: 나도 완전 동의한다. 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재정 아이덴티티가 없으면 온라인에서 거래할 수 없다.
이재은 기자 jelly@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