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은 7조 시장...2차 콘텐츠로 확장하면 100조
한때 일본만화를 위탁제작했던 한국이 세계 웹툰과 웹소설 시장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웹툰과 웹소설이 영화나 드라마, 게임으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황금알'로 인식되면서 네이버와 카카오는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까지 장악하기 위해 아낌없이 투자하는 모습이다.
세계 웹툰 1위인 네이버는 웹소설 1위인 캐나다 웹소셜업체를 인수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디지털콘텐츠 플랫폼을 한층 단단하게 다졌다. 카카오도 관련 해외시장에 투자를 아끼지 않으면서 글로벌 웹툰·웹소설 시장은 한국기업간의 각축전이 되고 있다.
두 회사가 웹툰과 웹소설에 공을 들이는 것은 웹툰과 웹소설의 지식재산권(IP)으로 드라마나 영화, 애니메이션 등 2차 콘텐츠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웹툰 시장은 7조원이지만 2차 시장으로 영역이 확장되면 100조원 시장으로 커진다. 이 때문에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 어마어마한 성장잠재력을 가진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는 것이다.
◇네이버, 캐나다 '왓패드' 인수···카카오도 공격투자
세계 1위 '웹툰'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는 캐나다 웹소설업체 '왓패드'의 지분 100%를 약 6억달러(6533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의했다고 20일 밝혔다. 2006년 설립된 왓패드는 전세계에서 9000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세계 최대 웹소설 플랫폼이다.
네이버에 따르면 왓패드는 창작자 500만여명이 쓴 10억편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고, 월 사용시간은 230억분에 달한다. 네이버는 왓패드 인수를 통해 이미 7200만명의 글로벌 사용자를 확보한 네이버웹툰과 함께 해외 IP사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왓패드와 네이버웹툰의 월간 순 사용자를 합치면 약 1억6000만명이다.
회사측은 두 플랫폼의 콘텐츠를 더욱 다양하게 영상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두 플랫폼간 시너지 역시 기대되는 부분이다. 왓패드의 웹소설을 네이버웹툰의 웹툰으로 재창출하기 쉽기 때문이다. 네이버웹툰은 이미 '재혼황후' '전지적독자시점' 등 웹소설 기반 글로벌 웹툰을 선보인 바 있다.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는 "이미 네이버웹툰을 통해 우리나라의 작가들이 글로벌에서 활동을 시작하고 더 많은 수익을 거두게 된 것처럼 웹소설 작가들의 해외 진출도 더욱 활발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카카오페이지와 다음웹툰을 통해 웹툰과 웹소설 및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는 카카오 역시 네이버와 함께 글로벌 시장의 강자로 꼽힌다. 일례로 세계 최대 만화 시장인 일본에서 네이버와 카카오는 치열하게 웹툰 1위 경쟁을 벌이고 있다.
카카오가 지난 2016년 4월 일본에서 출시한 만화앱 픽코마는 지난해 7월 처음으로 일본 비게임 앱 매출 1위에 올랐고, 이후 3개월 연속 1위를 유지했다. 특히 픽코마의 연재작 4만여개 중 웹툰은 400개 정도로 1% 수준이지만, 전체 거래액에서 웹툰이 차지하는 비중은 45%에 달할 정도로 웹툰이 성장을 이끌고 있다. 카카오는 향후 수년동안 카카오페이지의 플랫폼 서비스를 한국과 일본을 넘어 미국, 중국, 동남아 등으로 확대하는데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IP 활용한 2차 콘텐츠로 확장…성장잠재력 '무궁무진'
웹툰이 인기를 끌면서 웹툰의 IP를 활용해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2차 콘텐츠로의 제작도 활발하다. 최근에는 네이버웹툰을 원작으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스위트홈'과 tvN 드라마 '경이로운 소문' '여신강림' 등이 인기를 끌었다. 웹툰 '지금 우리 학교는'과 '지옥'도 영상 시리즈물로 제작 예정이다. JTBC 새 드라마 '선배, 그 립스틱 바르지 마요'는 네이버 시리즈 웹소설을, 상반기 방영 예정인 tvN 드라마 '간 떨어지는 동거'는 네이버웹툰 원작이다.
이는 웹툰과 웹소설의 잠재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부분이다. 즉 기존 종이 콘텐츠를 디지털로 바꾼 것으로만 생각하면 시장이 크지 않지만, 2차 콘텐츠로의 확장까지 생각하면 시장규모를 예상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일례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0 만화 산업 백서'에 따르면 국내 웹툰시장을 종이 만화책의 디지털 버전으로 보면 7조원의 시장이지만 새로운 모바일 콘텐츠로 가치를 환산할 경우 잠재 웹툰 시장규모는 100조원에 달한다는 전망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에는 디지털콘텐츠 IP 사업이라고 하면 게임이 가장 먼저 떠올랐지만, 최근에는 웹툰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며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미디어 공룡들도 웹툰이나 웹소설 IP 기반의 영상물 제작에 관심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시장은 엄청나게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백진엽 기자 jinebito@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