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50억 부자들의 선거판...박영선vs오세훈 '논란부터 공약까지'

김연수 기자 / 기사승인 : 2021-04-20 17:54:51
  • -
  • +
  • 인쇄
4.7 재보궐선거 공식활동 시작한 후보들
서울과 부산, 모두 부동산으로 이슈몰이
▲ 박영선vs오세훈 '부동산 빅매치'…부동산 논란부터 공약까지 총정리


4·7 재보궐 선거운동이 공식화되면서 여야 모두 상대방의 부동산 이슈를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는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였던 구로디지털단지에서 지난 25일 출정식을 열고 "이명박(MB) 시즌2를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면서 "피와 땀과 눈물로 힘겹게 이룬 대한민국 민주주의, 경제민주화, 정의가 후퇴하게 둘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도 지난 25일 은평구 응암역에서 가진 첫 유세에서 "이런 '주택 생지옥'을 만들어놓고도 대통령은 한 번도 무릎 꿇고 사죄한 적이 없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오 후보는 동대문구 경동시장으로 자리를 옮겨 "여론조사를 믿지 말라. 지금 박빙"이라고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문재인 정부 정신이 번쩍 들도록 몽둥이로 심판해달라"며 강경 발언을 이어갔다.

그러나 박영선과 오세훈 후보 모두 신고된 재산이 50억원이 넘는 부자들이고, 소유한 부동산이 30억원이 넘는다는 점에서 부동산 문제를 심판하는 것이 적절하냐는 지적이 나온다.

박영선 후보는 도쿄 아파트 보유논란이 일자 "팔았다"고 해명했지만 등기부등본에 소유권이 있는 것으로 나오자 "잔금을 아직 치르지 않아서"라고 했다. 

오세훈 후보 역시 소유하고 있는 내곡동 땅이 개발지구로 지정된 것에 대해 논란이 일자 "자신은 몰랐다"고 발뺌했지만 오세훈 후보의 서울시장 재임시절 그린벨트가 해제됐고 이에 따른 보상금을 챙긴 것으로 드러나 거짓말 논란까지 빚고 있는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서울시장 후보들에 대한 정책공약 검증은 거의 실종된 상태다. 1년짜리 서울시장 선거를 놓고 펼치는 두 후보의 공약은 그야말로 '빌 공(空)'에 불과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두 후보의 부동산 공약과 돌봄 공약 등을 비교해보면 큰 차별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뉴스;트리가 두 후보의 공약을 영상으로 비교해봤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기후/환경

+

해변을 지켜야 vs 해변가 집을 지켜야...해수면 상승으로 '딜레마'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미국 곳곳의 해변이 조금씩 바다에 잠기고 있다. 이 과정에서 6세기 로마법에 뿌리를 둔 '공공신탁' 개념이 다시 주목

맥주병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플라스틱병보다 많은 이유

유리병에서 플라스틱병보다 5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프랑스 식품환경산업안전보건청(ANSES)은 생수, 콜라, 맥주, 와인이 담긴 플라스틱병과

'동토의 북극' 옛말되나?...겨울에 물웅덩이 생기고 새싹 돋아

한겨울에 눈이 뒤덮여있어야 할 북극에서 물웅덩이가 생기고 눈이 녹은 땅위에서 새싹이 돋는 희귀한 광경이 연출되고 있다. 이에 학자들은 북극의 겨

김성환 환경장관 "도전적·합리적 탄소감축 목표 수립하겠다"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은 '도전적이면서 합리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겠다고 밝혔다.김성환 장관은 22일 취임사에서 이같이 밝히며 "2035 국

'극한호우'에 농경지 2.9만㏊ 침수되고 가축 175만마리 폐사

서산과 광주, 산청 등을 물바다로 만들었던 이번 집중호우로 경작지 2만9448헥타르(㏊)가 물에 잠겼다. 이는 축구장 4만1000여개에 달하는 면적이다.농림

유해기체 제거하는 '촉매' 개발...대기오염 저감기술 새 장

미세한 백금 원자를 이차원 신소재에 고르게 퍼뜨려 일산화탄소 등 유해 기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 백금 촉매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