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카로 '자동차 마법' 일으킨다고?...팀 쿡 "뭘하는지 두고봐!"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4-06 19:42:49
  • -
  • +
  • 인쇄
▲애플 CEO 팀 쿡 (출처=AppleInsider)


애플 최고경영자(CEO) 팀 쿡이 자율주행 자동차 '애플카'에 대해 묘한 뉘앙스를 풍겨 애플카가 어떤 모습으로 등장하게 될지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팀 쿡이 '애플카'를 가리켜 '마법'이라는 표현까지 썼다는 점에서 스마트폰을 만든 애플이 지금까지와 전혀 다른 유형의 자동차를 내놓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팀 쿡은 지난 5일(현지시간) 취임 10주년을 맞아 뉴욕타임스 팟캐스트 '스웨이'(Sway)에 출연해 애플카와 관련된 의미심장한 말들을 남겼다. 그는 "자율주행 자동차는 사실상 '로봇'"이라며 "자율주행과 관련해 할 수 있는 일이 많이 있고, 애플이 뭘 하게 될지 두고보자"고 말했다. 

하지만 팀 쿡은 애플이 개발중인 분야가 자동차 차체인지, 자동차에 들어가는 기술에 국한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팟캐스트 진행자가 이 부분을 콕 집어서 묻자 쿡 CEO는 "우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통합해 교차 지점을 찾는 일을 좋아한다"며 "여기서 바로 '마법'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부분에 있어 주요 기술을 확보하려 한다"고 에둘러 답했다.

애플은 2014년 '프로젝트 타이탄'(Project Titan)을 추진하면서 전기자동차 생산을 목표로 세웠다. 이후 2018년 8월 자율주행기술 개발로 선회해 2019년 자율주행 전문업체 '드라이브AI'(Drive.ai)를 인수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2월 현대·기아차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의 협력이 불발되면서 애플카 사업은 "루머만 무성하고 현실성은 없다"고 평가받기도 했다.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은 애플과 손잡으면 협업이 아닌 단순 하청으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협력을 꺼리고 있는 형편이다. 독일 코메르츠방크의 자동차시장 분석가 데미안 플라워스는 "애플은 아무 것도 공유하지 않을 것"이라며 "애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이점은 생산물량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을 정도다.

▲애플카 콘셉트 디자인 (출처=MotorTrend)


전문가들은 현재 애플이 모빌리티에 방점을 두고 있다고 봤다. 이 때문에 애플카 생산은 '만약'이 아닌 '언제' 현실화되느냐에 달렸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로이터통신이 보도한 익명의 애플 관계자는 '프로젝트 타이탄'이 계속되고 있고, 애플은 이르면 2024년까지 전기·자율주행 자동차 자체 생산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로서 가장 유력한 '애플카' 생산업체는 세계 3위 자동차 부품업체인 캐나다의 '마그나 인터내셔널'(Magna International)이다. 최근 마그나는 "애플카를 만들 수 있다"며 애플에 공개적으로 러브콜을 보낸 바 있다. 마그나는 오는 7월 LG전자와 합작법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LG Magna e-Powertrain)을 설립할 계획이다. LG전자는 휴대폰 사업을 철수하면서 미래성장동력인 전장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블룸버그가 "아이폰을 생산하는 폭스콘이 자사의 자동차 사업부문을 애플카 생산기지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지만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애플카 위탁생산설은 소문에 불과하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폭스콘이 원·하청으로 비춰지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의 고객으로서 애플을 유치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그동안 폭스콘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전기차 위탁사업을 시작했다. 폭스콘은 독자적인 플랫폼 확보가 아닌 공유 전기차 플랫폼 무료 개방을 통해 자동차 기업이 아니더라도 IT·산업디자인 기업 등이 전기 자동차 산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췄다. 폭스콘은 이 플랫폼을 통해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설계에 따라 전기 자동차 부품을 위탁생산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기후/환경

+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소리없는 살인자 '가뭄'...수천만명 극심한 기아 시달려

기후위기로 전세계 가뭄이 심각해지면서 수천만 인구가 기아로 내몰리고 있다.3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가뭄완화센터(NMDC), 유엔 사막화방지협약, 국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