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너보틀 "버려졌던 화장품 용기, 100% 재활용한다"

백진엽 기자 ·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4-28 19:44:56
  • -
  • +
  • 인쇄
[ESG커넥트포럼] 사례발표
이너보틀 오세일 대표
▲오세일 이너보틀 대표가 '제1회 ESG 커넥트포럼'에서 사례발표를 하고 있다.

화장품 용기는 플라스틱 재활용 이슈 중 가장 난제로 꼽힌다. 우선 외부에 여러 장식이나 도금이 돼 있는 경우가 많다. 더 큰 문제는 내부다. 잔여물을 쉽게 닦아낼 수 없다는 점이 화장품 용기 재활용을 어렵게 만든다.

28일 뉴스트리 창간 기념으로 서울 강남 드림플러스에 열린 '2021 제1회 ESG 커넥트포럼'에 사례발표를 위해 참석한 오세일 이너보틀 대표는 화장품 용기 재활용이라는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방안 자체가 이너보틀의 사업모델이다.

오 대표는 "이너보틀은 사용자들이 내용물을 아낌없이 쓸 수 있도록 해서 버려지는 잔여물을 줄이자는 목표로 사업을 시작했다"며 "그런데 사업을 하면서 버려지는 잔여물을 줄여 수질오염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중요한 것이 외용기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분리수거를 잘하는 나라로 꼽히지만, 재활용은 또 다른 문제"라며 "화장품 용기의 경우 실질적으로 재활용이 되지 않고, 대부분 소각 또는 매립돼 지구 온난화를 야기하거나 마이크로플라스틱 문제를 일으킨다"고 덧붙였다.

이런 관점에서 접근한 사업모델이 지금의 이너보틀이다. 오 대표는 "내용물을 다쓰기 위해서는 용기 내벽에 붙는 내용물 양을 최소화해야 하는데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용기의 표면적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풍선의 원리를 이용해 사용할수록 내용기가 점점 작아지는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둘째로 외용기가 사용해도 끝까지 깨끗하게 남아있어야 하기 때문에 내용기를 집어넣어 별도의 세척작업이 필요없는 솔루션을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US컨슈머 리포트에 따르면 평균 일반 펌프용기의 경우 내용물 25%는 쓰지 못하고 버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너보틀을 적용할 경우 잔여물은 1% 내외로 거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재활용률 차원에서도 이너보틀을 사용하면 외용기가 항상 깨끗하게 남아있어, 외용기를 어떻게 디자인 하느냐에 따라서 100% 재활용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너보틀은 여기서 한번 더 나아갔다. 오 대표는 "이제는 재활용 될 수 있겠구나 생각할텐데 여기서 끝이 아니다"라며 "깨끗하게 용기를 버려도 바로 깨끗하게 재활용되지 않는 이상 쓰레기장에 갔다 오게 되는데, 이는 깨끗한 용기가 다른 쓰레기들과 섞여 작업자들이 일일이 골라내야 하고 이는 모두 사회적 비용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이너보틀은 수거 플랫폼을 제시했다. 그는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한 후 용기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회수신청을 하면, 그 정보를 우리가 가지고 있다가 물류회사와 협업을 통해 그 집에 배송을 가는 김에 용기를 회수해 오는 방식"이라며 "그렇게 회수된 용기들이 모여 이너보틀로 오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고의 품질로 재활용할 수 있게 가공해 최근 MOU를 맺은 LG화학에게 전달하는 형태"라고 설명했다. 오 대표는 "LG화학은 보다 낮아진 비용으로 고품질의 PCR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외용기 안에 들어가는 이너보틀 자체도 재활용이 가능하다. 오 대표는 "이너보틀은 실리콘으로 만들고 있다"며 "이 실리콘을 세척 안된 상태에서 태국에 있는 실리콘 재활용 회사와 함께 재활용 테스트를 해봤는데, 산업적인 단계에서 평균 이상의 실리콘 오일을 추출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구현하고자 하는 최종 목표는 단순히 소비자가 전부 쓸 수 있는 편리한 용기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그 용기를 쓴 소비자가 버리는 것이 아닌 반납해 환경보호에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들게 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현재 개발중인 앱은 회수신청을 하면 지금까지 회수한 플라스틱 용기 숫자와 그로 인해 절감된 이산화탄소 발생량, 그리고 그 이산화탄소를 절감시키기 위해 심어야 하는 나무의 숫자 등을 보여줘 자원순환에 기여하고 있다는 걸 체감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오 대표는 "이너보틀은 궁극적으로 용기를 만드는 회사가 아닌 친환경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보급해 그 용기가 사회 내에서 선순환을 하면서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로플라스틱 플랫폼 회사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기후/환경

+

벌써 전력사용량 '피크' 찍었다...길어지는 폭염 '블랙아웃' 걱정없나?

한낮 최고기온이 40℃를 육박하는 때이른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가 연일 새로운 기록으로 갈아치우자, 기온이 가장 치솟는 '7말8초' 시기에 전력소비를

도로 잠기고 차 끊기고...퇴근길 '기습폭우' 또 내린다고?

올들어 가장 높은 37.8℃까지 치솟았던 8일 서울은 퇴근길 '기습폭우'에 도로가 물에 잠기는 등 일대 혼란이 발생했다. 이날 기습폭우의 원인으로 '폭염'

인력도 예산도 깎더니...美 텍사스 대홍수 참사에 트럼프 '뭇매'

미국 텍사스 중부를 덮친 기록적 폭우로 111명이 숨지고 160명이 실종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재난 초기 대응과 기상예보 체계 붕괴에 대한 비판이 들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산칼슘 저장하는 무화과 나무...왜?

무화과 나무가 자신의 일부를 돌처럼 만들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대학(UZH) 마이크 로울리 박사 연구팀

녹색전환硏, 노원구와 시민맞춤 ‘탄소중립 안내서’ 발간

서울 노원구에서 전국 최초로 시민 눈높이 '탄소중립 안내서'를 발간했다. 녹색전환연구소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와 서울 노원구와 함께 '탄소중립

벌채지역 제품 판매금지...유럽 '산림벌채법' 앞두고 회원국들 반발 확산

오는 12월 세계 최초로 '산림벌채법'(EUDR) 시행을 앞두고 있는 유럽연합(EU)에서 주요 회원국들이 규정 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법은 벌채된 땅에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