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기행] 서울에서 맛보는 무안산 '뻘낙지'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1-05-31 09:49:00
  • -
  • +
  • 인쇄

낙지는 2종류가 있다. 갯벌낙지와 통발낙지. 갯벌낙지를 뻘낙지라고도 부른다. 갯벌을 뻘이라고도 한다. 뻘낙지는 말 그대로 갯벌에 산다. 뻘낙지를 잡으려면 힘이 든다. 갯벌을 파면서 잡아야 한다. 삽질을 계속해야 한다. 보통 힘든 일이 아니다. 낙지는 몸놀림이 매우 빠르다. 낙지와 신경전을 펼쳐야 한다. 낙지잡이 전문가도 신경을 곤두세워야 한다. 통발낙지는 바다에 산다. 돌 틈 사이에 몸을 숨기고 있다. 통발에 미끼를 넣어 잡는다. 낙지는 야행성이다. 바닷물이 빠졌을 때 밤에 횃불을 켜서 잡기도 한다. 불빛에 놀란 낙지가 도망을 간다. 도망갈 때 그냥 주우면 된다. 이런 방식을 '해루질'이라 부른다.

사람들은 말한다. 뻘낙지가 맛이 좋고 영양도 풍부하다고. 이유가 무얼까. 갯벌은 바닷 속 허파같은 존재다. 바다 생태계를 정화시켜준다. 영양의 보고다. 게르마늄 셀레늄 등이 흘러넘친다. 수많은 무기질이 존재한다. 게 딱총새우 고둥 조개 갯지렁이 짱뚱어 등 다양한 생물이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다. 갯벌의 영양제를 섭취하며 살아간다.

국내에는 천혜의 갯벌이 존재한다. 서해안 갯벌이 세계 3대 갯벌로 손꼽히고 있다. 유럽 북해 연안, 미국동부 조지아 연안 갯벌과 함께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서울 근교에는 강화도 갯벌이 있다. 전남지역의 신안 무안 갯벌도 유명하다. 국내산 뻘낙지는 최고의 환경에서 살아간다. 당연히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고 있다. 아쉬움이 있다. 공급이 소비를 못 따라간다. 부족한 양은 중국산으로 대체한다.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전국에는 많은 낙지집이 있다. 낙지집은 많은데 국내산 뻘낙지를 먹기가 쉽지 않다. 구입하기 어려워서 그렇다. 서울에서 뻘낙지 맛을 즐길 수 있는 식당이 있다. 식도락가에게 알려진 맛집이다. 점심은 밥 손님. 저녁은 술손님으로 가득 찬다. 예약해야 편히 먹을 수 있다. 양재역 부근에 있다. 상호가 '명가 무안 뻘낙지'다. 전남 무안 갯벌의 낙지를 맛볼 수 있다. 무안에서 뻘낙지를 직접 공급받는다. 지인이 매일 올려 보낸다.

주인 임수진(57)씨는 뻘낙지 고유의 맛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한다. 산낙지 낙지볶음 낙지찜 낙지탕탕 낙지초무침이 대표음식이다. 산낙지에서는 낙지의 힘이 느껴진다. 한 점을 먹으면 입천장에 쩍쩍 붙는다. 힘만 좋은 게 아니다. 고소함이 뒤따른다. 씹을수록 쫄깃함이 느껴진다. 싱싱함은 기본이다. 갯벌냄새가 나는 기분이다. 낙지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산낙지볶음도 특유의 맛을 자랑한다. 양배추 단호박 양파 등이 들어간다. 손님의 건강을 위해 신경 쓴다. 일반식당과 다른 점이 있다. 단호박을 넣는다. 단호박으로 단맛을 낸다. 되도록 인공감미료를 쓰지 않으려 한다. 매콤하면서도 달콤하다. 주인의 정성이 엿보인다.

낙지초무침은 조리장의 비법이 빛을 낸다. 초장은 40년 경력의 조리장이 직접 만든다. 여러 가지 과일을 갈아 넣어 특유의 맛을 낸다. 새콤하면서도 달콤함으로 입맛을 돋궈준다. 살짝 데친 낙지에 초장과 함께 미나리 등 채소를 듬뿍 넣는다. 낙지의 쫄깃함과 초장의 새콤달콤, 채소의 아삭함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산낙지찜은 2가지로 나온다. 살짝 데친 낙지숙회는 담백하다. 콩나물을 넣어 볶아낸 찜은 고소함이 혀를 자극한다.

낙지탕탕은 먹기 편하게 나온다. 잘게 썬 낙지가 참기름 깨소금 달걀노른자와 함께 상에 오른다. 마늘 고추는 식성에 맞춰 먹으라고 접시 한쪽에 자리잡는다. 여러 색깔이 조화를 이룬다. 접시를 보는 순간 식욕이 부쩍 생긴다. 낙지의 꿈틀거림에 입맛이 돋는다.

이곳에서는 하루평균 10~15접의 뻘낙지를 무안에서 공급받는다. 낙지 1접은 20마리다. 하루에 200~300여 마리 낙지가 팔린다. 물건이 모자라 강진과 장흥의 뻘낙지로 보충하는 경우도 있다. 손님상에는 8가지 기본반찬이 깔린다. 전도 나온다. 무전 파래전 등 남도음식을 맛 볼 수 있다. 장흥이 고향인 주인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맛보다 귀한 게 있다. 주인의 친절함이다. 손님이 나갈 때 기분이 좋다. 주인이 최고의 서비스를 한다. 언제나 웃는 얼굴이다. 친절함이 몸에 배있다. 모두가 회장 대접을 받는 기분이다. 한번 들르면 계속 찾게 된다. 주인의 친절함에 단골손님이 많다. 요식업 20년 경력의 주인이 손님의 마음을 휘어잡는다.

퇴근길 술 한 잔 생각날 때 들려봄직 하다. 뻘낙지의 깊은 맛과 주인의 친절함이 하루의 피로를 풀어줄 게다.


글/ 김병윤 작가
   춘천MBC 아나운서
   주간야구 기자
   내외경제(현 헤럴드경제) 기자
   SBS 스포츠국 기자
   저서 <늬들이 서울을 알아>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현대백화점그룹, 48명 임원인사..."변화보다 안정성에 방점"

현대백화점그룹이 30일 사장 1명, 부사장 2명을 포함해 승진 27명, 전보 21명 등 총 48명에 대한 정기 임원 인사를 2026년 1월 1일부로 단행했다. 인사 폭은

SK AX, 김완종 CCO 사장으로 승진..."AX 이끌 적임자"

SK㈜ AX는 김완종 최고고객책임자(CCO)를 신임 사장으로 승진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국내 산업 전반에서 AX(AI Transformation) 확산이 본격화되고 기업들의

SKT 사령탑 교체...신임 CEO에 정재헌 사장 선임

SK텔레콤은 정재헌 대외협력 사장을 신임 CEO로 선임했다고 30일 발표했다.정재헌 신임CEO는 법조인 출신으로 2020년 법무그룹장으로 SKT에 합류했다. 2021

기후/환경

+

호주 봄날씨 실화냐?...한낮 기온이 46℃ '지글지글'

호주 북부지역이 봄철인 10월에 40℃를 웃도는 폭염을 겪고 있다.호주 기상청(BoM)은 북부 지역인 퀸즐랜드주와 노던 준주의 일부 지역이 올해 가장 더운

폭염에도 실내온도 6℃ '뚝'…호주에서 옥상용 냉각코팅제 개발

폭염에 실내온도를 낮을 수 있는 옥상 코팅기술이 새로 개발됐다.호주 시드니대학교 연구진은 폭염시 실내온도를 최대 6℃까지 낮출 수 있는 옥상용

[주말날씨] 단풍 보러갈 수 있을까...'가을비' 내린 후 쌀쌀

11월 첫 주말은 단풍이 물들며 완연한 가을날씨지만, 곳곳에 비가 내린 후 다시 초겨울 날씨가 오겠다.1일은 전국이 오전까지 대체로 흐리다가 오후부

“기후위기 시대, 아이 낳기 두렵다”…출산 기피하는 美 Z세대

기후위기에 대한 불안이 미국 젊은 세대의 출산 결정까지 흔들고 있다.피유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미시간대 사회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조

1분마다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온난화로 年54.6만명 목숨잃어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인구 가운데 1분에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난화에 따른 영향으로 90년대에 비해 23% 증가한 54만6000명의 전

섬나라 쑥대밭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4일만에 괴물로 변한 이유

카리브해 섬나라들을 쑥대밭으로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Melisa)가 짧은 시간에 역대급 초강력 폭풍우로 발달한 것은 '해양온난화'가 원인으로 꼽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