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에 꽃향기 못맡는 꿀벌들...수분작용 31% 감소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1-24 12:13:20
  • -
  • +
  • 인쇄
충매화 의존 토종 야생화 등 생태계에 악영향
전체 작물종 70% 꿀벌에 의존...경제에도 여파


대기오염으로 꿀벌들이 꽃향기를 맡지 못하게 되면서 수분(受粉) 작용이 최대 3분의1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레딩대학교 제임스 라이얼스(James Ryalls) 박사 연구팀은 흑겨자 밭을 질소산화물(NOx)과 오존(O3) 등 대기중에 흔히 있는 오염물질에 노출시켰더니 수분 매개자 개체수 비율이 70% 감소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가운데 꿀벌과 나비를 비롯해 꽃을 직접 방문해 꽃가루를 옮기는 방화성 곤충은 무려 90%나 감소했다. 이처럼 매개자 역할을 하는 곤충이 줄면서 수분 비율은 31%가량 감소했다.

연구진은 수분 매개자 개체수가 줄어드는 이유로 냄새를 지목했다. 꽃향기에 의존하는 꿀벌같은 개체는 대기오염 영향을 더 심하게 받는다는 것이다. 이번 논문의 공동저자 로비 걸링(Robbie Girling) 교수는 "지난번에 진행한 다른 연구로 질소산화물을 포함한 디젤 배기가스가 꽃가루를 옮기는 곤충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밝혔지만, 이번에는 곤충이 아닌 꽃밭에 미치는 영향으로 살펴보니 보다 극적인 결과로 사태의 심각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최근들어 전세계적으로 꿀벌 개체수가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면서, 이에 대한 원인으로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 제초제, 기온변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번 연구로 대기오염 역시 꿀벌의 식량 수급에 위해를 가하면서 개체수 유지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꿀벌 개체수 감소는 충매화에 의존하는 토종 야생화 등의 개체수 감소로 이어져 생태계 교란이 초래될 수 있다. 또 자연뿐 아니라 경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전세계 농업식품 생산량 가치의 8%가 꿀벌과 관련이 있으며, 이 가운데 사과, 딸기 등 작물종의 70%가 꿀벌에 의존한다.

제임스 라이얼스 박사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발견되고 우리가 매일 들이마시는 오염물질이기 때문에 더욱 우려스럽다"며 "우린 이미 이 오염물질이 우리 건강에 좋지 않다는 걸 알고 있고, 또 이들이 수분 매개자의 활동과 개체수를 상당수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우리가 의존하는 생태계에도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문닫고 '향초' 피우면...'미세먼지' 실내농도 1.5배 증가

실내에서 향초를 피울 때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고스란히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9일 세명대 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