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한반도 추락 가능성이 제기됐던 미국 지구관측위성 'ERBS'가 알래스카 인근 바다에 추락한 것이 최종 확인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국 지구관측위성이 9일 오후 1시 4분쯤 알래스카 서남쪽 베링해 부근(위도 56.9도, 경도 193.8도)에 추락했다고"고 밝혔다. 이같은 사실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통해 확인된 것이다. 이 지점은 국내 우주환경감시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이 예측한 경로상에 있다.
NASA도 ERBS의 추락을 처음 예고하면서 "지구에 있는 그 어떤 사람에게라도 피해가 돌아갈 확률은 대략 9400분의 1로 매우 낮다"고 밝힌 바 있다.
1984년 10월 5일 챌린저 우주왕복선에서 발사된 뒤 지구 열복사 분포를 관측하고 분석하는 임무를 수행했던 이 관측위성은 9일 오후 12시20분~1시20분 사이에 지구로 추락할 예정이었다.
한반도가 추락 예측범위에 포함되면서 과기정통부는 이날 오전 7시 경계경보를 발령하고 우주위험대책본부를 소집했으며 오전 11시 31분께 대국민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했다.
추락하는 위성은 대기권 진입시 마찰열에 의해 대부분 연소돼 사라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타다 남은 일부 잔해물이 한반도로 낙하할 수 있어 관계기관은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고 있었다. 다행히 한반도를 벗어나 베링해 부근에 떨어졌다.
ERBS 위성은 원래 임무기간이 2년이었지만 2005년 은퇴할 때까지 21년간 지구 대기를 관측했다. 그동안 성층권에서 태양 자외선을 차단해 지구상의 생명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오존층이 차츰 옅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1987년 오존층 파괴물질 규제를 골자로 하는 '몬트리올 의정서' 체결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ERBS는 이후 지구 궤도를 계속 선회하면서 점차 중력에 이끌려 조금씩 지구에 가까워지다가 대기권에 재진입하며 이날 추락했다.
수명을 다하거나 고장난 위성이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는 일은 상당히 흔한 일이다. 다만 이들 대부분은 대기권에 재진입하며 발생하는 고온의 마찰열에 의해 대부분 연소하며 설령 다 타지 않아도 그 잔해들이 지구 면적의 70%를 차지하는 바다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