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면 2100년 2.8℃ 오른다"...IPCC '최후의 경고'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1 11:16:29
  • -
  • +
  • 인쇄
IPCC 종합보고서 "1.09℃ 올랐는데 33억명 위험"
수익성 담보 '기후탄력적개발' 투자비 6배 늘려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 표지 사진. 한국 순천과 완주 사이 구례 부근에서 아침 안개가 짙게 드리웠다가 동이 트면서 서서히 걷히는 모습을 담은 '제38차 기상기후 사진영상 공모전' 수상작이다. (사진=IPCC)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앳 원스'의 제목처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모든 것을 모든 곳에서 한꺼번에' 실행해야 한다는 과학계의 최후경고가 나왔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일(현지시간) 발표한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6차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10월 전까지 발표된 각국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상향조정없이 그대로 이행한다면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이 2.8℃(2.1~3.4℃)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전세계 과학자 1000여명이 참여해 작성한 이 보고서는 스위스 인터라켄에서 13일~19일 열린 제58차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승인됐다. 전세계를 위한 '기후변화 교과서'로 일컬어지는 이번 보고서는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 기후변화의 영향과 위험,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 등 2018∼2019년 나온 특별보고서 3건과 2021∼2022년 발간된 실무그룹(WG) 보고서 3건을 포괄하는 내용을 담았다.

6차 보고서의 핵심은 현재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계획으로는 부족하다는 점을 짚으면서 "모두가 살만하고 지속할 수 있는 미래를 확보할 기회의 창이 빠르게 닫히고 있다"라고 경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2020년 지구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이라고 할 수 있는 1850~1900년보다 1.09℃ 올라갔다. 국제사회가 인류 생존의 마지노선으로 정해놓은 '1.5℃ 목표'에 이르진 않았지만, 기후변화는 육상·담수·설빙권(Cryospheric)·연안·대양 생태계에 지속적인 손해를 끼치면서 불가역적인 손실이 늘고 있고, 이미 전세계 33억~36억명이 식수난을 겪는 등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여있다.

1850년부터 2019년까지 인간 활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순배출량은 2400±240기가톤(Gt)이다. 이 가운데 58%가 1850~1989년 배출됐고 나머지 42%는 1990~2019년 배출된 것으로 추산된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한 '잔여 탄소 배출허용량'(탄소예산)은 500Gt이다. 2019년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59±6.6Gt)을 기준으로 볼 때 1.5℃ 제한을 달성하기 위한 탄소예산은 10년치도 남지 않은 셈이다.

IPCC 평가보고서가 6~7년 주기로 발간된다는 점에서 차기 보고서는 2030년 이후에나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즉 6차 보고서는 인류가 기후변화 완화·적응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남은 '최후의 시간' 내 마지막 IPCC 평가보고서라 할 수 있다.

보고서는 2021년 10월 전까지 발표된 각국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상향조정 없이 그대로 이행한다면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이 2.8℃(2.1~3.4℃)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긍정적이진 않은 전망에도 IPCC는 기회가 남았다고 강조했다. IPCC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실현 가능하고 효과적인 여러 선택지가 존재하고 (이 선택지들은) 지금도 사용할 수 있다"라면서 "긴급한 기후행동만이 모두가 살만한 미래를 보장한다"라고 했다.

6차 보고서가 제시한 해결책은 '기후 탄력적 개발'(climate resilient development)이다. 이는 '광범위한 이득이 나는 방식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피하거나 감축하는 방안과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방안을 통합하는 것'이라는 게 IPCC의 설명이다.

예컨대 자동차 등의 저탄소 전기화(low-carbon electrification)는 공기 질을 향상해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하면서 동시에 일자리도 창출한다. 공기 질이 좋아지면서 사람들 건강이 증진돼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만도 온실가스 배출을 피하거나 감축하는 데 드는 비용을 상쇄하거나 상회한다고 IPCC는 강조했다.

이처럼 2020~2030년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연간 투자비는 현재의 3~6배로 증가돼야 한다.

보고서는 "기후 탄력적 개발은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개발이 진전되도록 (기후변화) 대응책과 적응책을 통합하는 것으로 국제협력이 증진돼야 가능하다"라며 "향후 10년간 심대하고 신속하고 지속적인 (기후변화) 완화책이 시행되고 적응책 실행 속도가 빨라진다면 인간과 생태계 손실과 피해를 줄일 뿐 아니라 공기 질과 건강 등 여러 부가적인 이익도 발생할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완화책과 적응책 시행이 지연되면 (인류를)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기반시설에 매여 있게 만들고 (완화책과 적응책) 실현 가능성을 줄이고 손실과 피해를 늘릴 것"이라고 즉각적인 행동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기후파괴 앞장선 美...산업시설 탄소배출량 의무보고 폐지

"기후위기는 가짜"라며 반(反)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산업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를 폐지했다. 중국 다음으로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