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역대급 '슈퍼엘니뇨' 도래?...기후분석가들 '예의주시'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4 15:13:15
  • -
  • +
  • 인쇄
NOAA '엘니뇨 경보' 발동...시기 앞당겨질 수도
역대급 해수 온도에 이례적 '슈퍼 엘니뇨' 우려
▲'슈퍼엘니뇨'가 찾아온 2015년 10월 위성 해수면 온도 사진. 해수온도가 평균치보다 높을수록 붉게 나타나도록 엘니뇨 현상이 시각화돼 있다. (사진=NOAA)


올해 해수면 온도가 2℃ 이상 높아지는 역대급 '슈퍼엘니뇨'가 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기후분석가들은 '엘니뇨'가 도래하는 올해 그 규모와 시기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엘니뇨가 예상보다 빠르게 찾아오고 있다며 '엘니뇨 경보'를 발령했다.

올 3월을 기점으로 3년 연속 이어진 '트리플딥 라니냐' 현상이 막을 내리고 '중립'(ENSO-neutral) 상태에 접어든 바다는 올 6~8월 '엘니뇨'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하지만 NOAA는 엘니뇨 진입 시기가 당초 예상보다 크게 앞당겨진 5~7월에 나타날 확률을 62%, 이후 가을에 나타날 확률을 80~90%로 전망했다.

호주 기상청도 지난 11일(현지시간) 영국과 미국, 일본 등 전세계 7개 기상청 자료를 토대로 엘니뇨 도래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각 기상청 모델들의 시뮬레이션을 살펴보면 8월까지 모든 관측치에서 해수면 온도가 엘니뇨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어찌됐건 올해 엘니뇨가 찾아올 것이라는 예측이 확실시되고 있다.

통상 해수면 온도는 인도네시아나 호주 등 서태평양 부근이 높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이 햇볕이 쏟아지는 적도 부근 열대 태평양의 열을 서쪽으로 몰아넣기 때문이다. 무역풍이 약해질 경우 서쪽에 갇혀있던 열이 열대 중태평양과 동태평양으로 옮겨오게 되고, 이들 해역의 온도가 각각 0.8℃와 0.5℃ 이상 높아지는 현상을 '엘니뇨'라고 한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지구 평균기온은 약 0.2℃ 상승한다. 해수면 온도가 늘면서 더 많은 물이 증발하게 되고, 비구름이 많아지게 된다. 비구름이 많아지면 바다 대신 대기가 태양열을 흡수하면서 극단적인 기후현상이 늘어난다. 아시아, 호주, 중앙아프리카, 아프리카 남부엔 가뭄이, 미국 남부와 멕시코 지역엔 홍수 위험이 늘어나게 된다.

실제로 '슈퍼엘니뇨' 현상이 나타났던 2016년 2월 인도는 기상관측 137년 이래 2번째로 건조한 한해를 보냈다. 당시 인도 전체인구의 4분의 1인 3억3000만명이 물 부족으로 고통받았고, 갠지스강은 바닥을 드러내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봄철 기온의 등락폭이 심하기 때문에 기상관측모델들의 예측치도 오차범위가 큰 상황이라며 아직까지 이번 엘니뇨에 대한 규모를 예상하기는 섣부르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한다. 따라서 기온이 안정되는 6월까지 기다려봐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슈퍼엘니뇨' 현상이 나타났던 시기는 1950년대 이후 1982~1983년, 1997~1998년, 2015~2016년 3번에 불과했다. 이처럼 슈퍼엘리뇨는 10~15년 주기로 찾아오기 때문에 2016년에 이미 큰 홍역을 치른 만큼 올해 또다른 슈퍼엘니뇨가 찾아올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다.

하지만 안심하기에는 이르다는 진단도 나온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2020~2022년 엘니뇨의 정반대 현상인 라니냐가 3년간 지속됐음에도 전세계 평균기온은 관측사상 가장 더운 7년을 기록했다. 또 지난 8일 NOAA는 4월초 해수면 온도가 21.1℃를 돌파하면서 2016년 슈퍼엘니뇨 시기의 해수면 온도였던 21℃를 경신했다고 밝힌 바 있다.

NOAA 수석연구원 마이크 맥패든 박사는 "10~15년 주기로 큰 엘니뇨가 찾아오기 때문에 2016년 바로 다음에 오는 엘니뇨가 슈퍼엘니뇨일 경우 매우 이례적인 일이 될 것"이라면서도 "그렇다고 해도 자연은 항상 우리가 모든 걸 다 안다고 자부하는 순간 헛발질을 하도록 하는 법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아주 큰 엘니뇨의 경우 지구 전체를 극심한 가뭄, 홍수, 폭염, 태풍 등으로 뒤집어놓기 때문에 어찌됐건 예의주시하고, 대비태세를 갖춰놓아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일회용품 없는 '특화지구' 6곳으로 확대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국 최초로 운영하는 '일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를 5곳에서 6곳으로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양평 양수리전통시장

LG화학, 한샘과 손잡고 세계 최초 친환경 소재 주방가구 생산

LG화학이 한샘과 손잡고 친환경 주방가구 소재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화학은 지난 21일 한샘 송파점에서 한샘과 '친환경 가구용 성형자재 개발 업무협

프랑스, 내년부터 화장품·섬유에 'PFAS' 사용금지

프랑스가 내년부터 화장품과 섬유에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이 금지된다.프랑스의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경기도, 전국 최초로 '기후테크 산업육성 조례' 제정

기후테크의 정의와 사업 육성 지원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담은 '기후테크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LG화학, 여수공장과 中텐진 '폐기물 매립제로' 국제인증 획득

LG화학이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국제인증을 한국과 중국 사업장에서 동시에 받았다.LG화학은 국내 여수 화치공장과 중국 톈진

SK케미칼, CDP 기후변화 분야 평가 'A등급' 획득

SK케미칼이 글로벌 평가기관으로부터 ESG경영 성과를 인정받았다. SK케미칼은 최근 국제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로부터 기

기후/환경

+

수년째 '오락가락'하는 봄꽃 개화...올해는 언제 피려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기온이 오락가락하면서 봄꽃 개화 시기도 갈수록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올해 예상시기도 마찬가지다.산림청은 올해 봄꽃

"기후연구도 하지마"...트럼프, 과학자들에 기후보고서 작성 금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정부 과학자들에게 글로벌 기후보고서 작업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미국을 기후변화 대응·연구에서 철수시

반나절에 124cm '펑펑'...5m씩 쌓인 눈에 파묻힌 日북부

일본 각지에 폭설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에는 북부 아오모리현에서 눈이 5m 넘게 쌓였다.NHK 등 현지언론은 이 지역에 위치한 온천관광지 스가유의 적

'2026 월드컵' 축구선수들 전례없는 기후스트레스 겪는다...왜?

오는 2026년에 치뤄지는 'FIFA 월드컵'에 참가하는 축구선수들은 높은 온도와 습도에 노출돼 건강에 큰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0일(현

"석유 시추금지 풀지마"...환경단체들, 美트럼프 대상 소송제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환경단체로부터 2건의 소송을 당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를 대상으로 제기한 첫번째 소송이다.19일(현지시간) 그린피스와 생물다

탄소감축의 획기적 방법?...CO2가 재생연료 '메탄올'로 변신

온실가스의 주범 이산화탄소(CO2)를 재생연료로 변신시킬 수 있는 촉매가 미국에서 개발됐다.왕해량 미국 예일대학 화학과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18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