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은행들의 '두 얼굴'...탄소중립 선언해놓고 화석연료에 투자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6 13:58:08
  • -
  • +
  • 인쇄
(출처=액션에이드 홈페이지)

'탄소중립'을 외쳤던 세계 주요 은행들이 개발도상국의 화석연료 산업에 수조달러씩 쏟아붓고 있다.

최근 반-빈곤 국제단체 액션에이드(ActionAid)가 국제무역 컨설팅회사 프로푼도(Profundo)와 공동작성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2022년까지 세계 주요 은행들이 화석연료 산업에 약 3조2000억달러를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금은 대부분 개발도상국의 화석연료 사업에 투입됐다. 보고서는 "개발도상국은 기후위기 최전선에 있는 경우가 많지만 기후행동계획을 수립할 자원이 부족하다"며 "따라서 개발도상국은 탈탄소화와 온난화 대응을 위해 수조달러의 원조가 필요한데 금융회사들은 이런 국가들이 반대 방향으로 나가도록 돕고 있다"고 지적했다.

남미와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에게 화석연료를 탐사하고 채굴하도록 자금을 지원한 곳은 중국공상은행을 비롯해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 체이스 등이다. 이 주요 은행들은 아람코(Aramco)와 엑손(Exxon)같은 글로벌 거대 석유기업들을 통해 자금을 제공했다.

이 은행들은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대규모 산업화 농업에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HSBC은행과 미국 은행들은 ADM, 카길(Cargill), 켐차이나(ChemChina) 등 거대 농업기업에 최소 3700억달러를 대출해주거나 보증해줬다.

문제는 이들이 자금을 지워한 산업화 농업은 환경오염의 온산이라는 점이다. 화학비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오염, 축산으로 인한 메탄 배출, 녹지 개간 등 수많은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산업 농업은 두번째로 지구온난화에 기여한다. 액션에이드 기후정의 담당 테레사 앤더슨(Teresa Anderson) 이사는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금융권의 그린워싱을 잘 보여준다"며 "은행들은 종종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하지만, 화석연료와 산업 농업에 대한 지속적인 자금조달 규모는 놀라울 정도다"고 비판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이 은행들은 앞다퉈 기후공약을 발표했다. 시티은행은 지난해 에너지금융에 대한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2025년까지 농업 대출에 대해서도 비슷한 목표를 설정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HSBC은행도 지난해 12월에 에너지 금융정책을 갱신했다.

당시 지나 바틀렛(Gina Bartlett) HSBC은행 대변인은 "이번 에너지 정책은 HSBC가 더이상 새로운 유전 및 가스전 또는 환경적으로 중요한 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을 위해 새로운 금융 또는 자문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며 "HSBC는 산림 벌채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나아가 산림 벌채에 관련된 고객을 대상으로 한 금융서비스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이 그동안 발표했던 기후공약들은 모두가 공수표였다는 것이 이번 보고서를 통해 들통났다.

게다가 선진국들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개발도상국에 원조한 금액보다 이 은행들이 투자한 금액이 훨씬 많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됐다.

실제로 2016년~2022년까지 세계 주요 은행들은 화석연료와 산업 농업에 연평균 5130억달러씩 투자했다. 반면 선진국들은 매년 평균 222억5000만달러씩 개발도상국에 원조했다. 보고서는 "전세계 선진국들이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에 지원한 금액은 턱없이 작다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녹색투자 연구단체 오일 체인지 인터내셔널(Oil Change International)의 론 스톡맨(Lorne Stockman) 선임연구원은 "이 보고서는 아주 중요하다"며 "많은 화석연료 프로젝트는 금융기관 지원없이는 시작조차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근본적으로 투자 방향을 바꾸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투자 및 개발에 대한 논의는 실패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보고서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계 각국 정부의 재생에너지, 저탄소 재생농업, 빈곤국의 기후적응 계획에 대한 공공보조금 확대, 오염 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줄이기 위한 금융부문 규제강화'를 제시했다. 니란잘리 아메라싱헤(Niranjali Amerasinghe) 액션에이드 전무는 "은행들은 기후파괴에 대한 자금 지원을 즉각 중단하고, 각국 정부는 신속하고 공정한 방식으로 자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정책연구소(Institute for Policy Studies) 바사브 센(Basav Sen) 기후정책 이사는 "부유국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배상금을 지불해야 하는지를 계산할 때 이러한 왜곡된 금융흐름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기후파괴 앞장선 美...산업시설 탄소배출량 의무보고 폐지

"기후위기는 가짜"라며 반(反)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산업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를 폐지했다. 중국 다음으로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