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산업 수요 '먹구름'...에너지 운송회사들 사업개편 '잰걸음'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9-25 16:19:38
  • -
  • +
  • 인쇄

북미에 있는 에너지 운송회사들이 신규 석유 파이프 라인 건설을 취소하거나 석유사업을 매각하면서 관련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전기자동차 및 데이터 서버 등의 확대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천연가스 부상에 기인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미국의 석유 파이프라인 회사인 마젤란 미드스트림 파트너스(Magellan Midstream Partners)는 경쟁사인 원옥(Oneok)에게 188억 달러에 매각됐다. 미젤란은 석유 운송에 치중한 기업인 반면 원옥은 천연가스 운송에 특화된 기업이다. 마젤란 경영진은 "2050년까지 미국의 휘발유 수요가 50% 이상 감소할 수 있다"며 "독립 기업으로서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며 매각 이유를 밝혔다.

다른 관련기업들도 탈석유 흐름에 맞춰 사업개편을 진행하고 있다. 캐나다의 티씨에너지(TC Energy)는 최근 원유 파이프라인 건설사업을 철수하고 천연가스에 집중하겠다고 발표하며 "저탄소 에너지에 대한 산업계와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독보적인 위치에 서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또다른 에너지 운송 파이프라인 회사인 인브릿지(Enbridge)는 미국 에너지기업 도미니언 에너지(Dominion Energy)의 천연가스 유통 사업을 140억달러에 인수하는 자리에서 "꼭 필요한 인프라를 확보할 수 있는 한 세대에 한번 있는 기회"라고 했다.

기업 인수합병(M&A) 전문가들은 "천연가스가 석유보다 그나마 탄소를 덜 배출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사업 측면에서 기업들이 이같은 결정을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젤란 매각설이 처음 나돌던 지난해만 해도 관련업계는 석유산업이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최근들어 이같은 전망을 뒤집는 예측이 속속 나오면서 석유산업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 최근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석유 등 화석연료에 대한 전세계 수요가 이번 10년동안 정점에 달하고 이후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의 재무정보 및 분석기업 S&P글로벌(S&P Global)의 라울 르블랑(Raoul LeBlanc) 애널리스트는 "전기회사들은 재생에너지가 잠재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중심에 서고 싶어한다"며 "또 전통적인 에너지 업계에 종사해온 사람들은 가스가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재생에너지로 가는 길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중요해질 연료라고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ESG 리스크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사고로 인해 석유가 누출되면 복구와 보상에 막대한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기업 이미지가 하락하기 때문이다. 최근 티씨에너지 소유의 키스톤 파이프라인에서 50만갤런의 원유가 유출돼 약 4억8000만달러의 복구 비용이 발생했다. 

에너지 운송회사 경영진들은 "대형 투자자들이 현금을 어디에 투자할지 결정할 때 ESG 요소를 점점 더 의식한다"며 "특히 석유와 같은 화석 연료사업에서 자본을 구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고 입을 모았다.

글로벌 투자은행 제프리스&컴퍼니(Jefferies Group)의 피트 보우덴(Pete Bowden) 에너지 및 인프라 담당이사는 "원유 물류 거래는  ESG로 인해 천연가스 거래보다 더 어려워졌다"며 "원유 운송은 더 무겁고 더러운 제품이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는 관념이 퍼진 것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환경운동가와 지역 토지소유주들이 원유 파이프라인이 건설될 때마다 소송을 제기한다"고 덧붙였다.

M&A전문 로펌 빈슨&엘킨스(Vinson & Elkins)의 키스 풀렌바이더(Keith Fullenweider) 회장은 "점점 기업들이 석유 파이프를 신축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추세"라며 "만들 수 없으면 사면 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LG U+, 표준협회 콜센터품질지수 통신업종 2개 부문 1위

LG유플러스가 한국표준협회(KSA)가 주관하는 '2025년 콜센터품질지수(KS-CQI) 조사'에서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IPTV 2개 부문에서 최우수기업으로

셀트리온, 美 일라이 릴리 공장 인수..."인수와 증설에 1.4조원 투자"

셀트리온이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 릴리(Eli Lilly)와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소재한 약 4600억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

CJ제일제당, 폭염도 견디는 배추 신품종 '그린로즈' 개발

CJ제일제당이 국내 최초로 여름철 폭염에도 잘 자라는 고온적응성 배추 품종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배추는 기후변화로 생산량이 줄고 있는 대

'차량 1대당 탄소 3㎏ 감축'…현대차, 재활용 소재 '타이어 스틸벨트' 개발

현대자동차그룹이 철 스크랩 등 재활용 소재를 80% 이상 사용한 타이어 스틸벨트(Steel belt)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기술로 제작한 타이어를 장착한

해킹 사고 터진 KT와 롯데카드 "ESG평가 감점요인"

KT와 롯데카드가 해킹 사고로 ESG 평가점수가 하락할 전망이다.ESG 평가기관 서스틴베스트는 '정보보호' 사안에서 심각성이 중대하다고 판단하며 해당

'아기상어' 코스닥行...더핑크퐁, 연내 상장 목표로 공모절차 착수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종 콘텐츠 '아기상어'로 유명한 더핑크퐁컴퍼니가 연내 코스닥에 입성한다.더핑크퐁컴퍼니는 22일 금융위원회에 코

기후/환경

+

[날씨] 가을 알리는 '요란한 비'...24일 시간당 20∼30㎜ 폭우

오는 23일 밤부터 남해안에 비가 내리기 시작해 24~25일 많은 비가 오겠다. 이 비가 그치면 가을이 성큼 다가온다.23일 오전 제주에서 내리기 시작한 비가

공기보다 더 빨리 뜨거워지는 강물...'하천폭염' 속도 4배 빠르다

하천의 수온이 상승하는 '하천폭염'(Riverine Heatwaves) 속도가 공기가 데워지는 대기폭염 속도보다 최대 4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펜셀베니아주

서울시 반지하 침수 막겠다더니...올해도 1072가구 잠겼다

올해도 폭우로 서울시 반지하 주택 1072가구가 물에 잠겼는데도 서울시는 침수대책은커녕 피해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

해빙 붕괴로 가라앉는 미세조류...기후위기 더 악화시킨다

북극의 얼음이 빨리 녹으면서 얼음 속에 살던 미세조류가 예상보다 일찍 가라앉아 바다의 탄소저장 기능이 흔들리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극지

CJ제일제당, 폭염도 견디는 배추 신품종 '그린로즈' 개발

CJ제일제당이 국내 최초로 여름철 폭염에도 잘 자라는 고온적응성 배추 품종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배추는 기후변화로 생산량이 줄고 있는 대

"美 산불 연기로 2050년까지 190만명 사망할 것"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2050년까지 19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