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사무총장 "해수면 상승하는 소도서 개발도상국 지원자금 늘려야"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3-04 10:51:49
  • -
  • +
  • 인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조지타운 바다 방위 프로젝트를 시찰하고 있다. (사진=유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이 "소도서 개발도상국(SIDS,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을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2일(현지시간)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국가공동체(CELAC) 정상회담 참석 이후 '조지타운 바다 방위'(Georgetown Sea Defense) 프로젝트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며 "더 큰 연대와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지타운 바다 방위는 해안 침식과 해수면 상승에 대처하기 위해 카리브해 국가들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구테흐스 총장은 이후 진행된 언론 인터뷰에서 "바다와 홍수, 폭풍으로부터 섬을 보호하기 위한 이 모든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더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후정의의 이름으로 저렴하고 빠른 대처를 위한 적절한 자금이 신속하게 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지원방법을 묻는 한 질문에 그는 "SIDS가 손실 및 피해기금을 통해 기후금융에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손실 및 피해기금은 기후 취약국가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 및 기타 극한날씨로 인한 피해를 상쇄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자금으로, 국제사회의 오랜 논의끝에 지난해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실시를 전격 합의한 바 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조지타운 바다 방위같은 비교적 소규모 프로젝트에는 수십억 달러가 소요되는 프로젝트와 같은 수준의 관료주의가 필요하지 않다"며 "신속한 결정과 가용 자금의 신속한 운영 그리고 훨씬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고 빠른 자금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SIDS 국민들은 기후변화의 최전선에 서 있다"며 "그들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지 않았지만 그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CELAC 정상회담 일정 중 화산폭발 직격탄을 맞은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지역을 시찰했다. 2021년 4월 해당 지역은 라 수프리에르 화산 폭발로 인해 2만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기상어' 코스닥行...더핑크퐁, 연내 상장 목표로 공모절차 착수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종 콘텐츠 '아기상어'로 유명한 더핑크퐁컴퍼니가 연내 코스닥에 입성한다.더핑크퐁컴퍼니는 22일 금융위원회에 코

대한항공, SAF 사용확대...고베·오사카 노선도 국산SAF 1% 혼입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생산한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하는 상용운항 노선을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SAF는 폐기름, 동·

폐기된 서버 '로그기록' 있었다...KT, 소액결제 사태 새로운 단서?

KT가 폐기한 서버에서 로그기록이 별도로 백업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중국 해커집단의 국내 통신사 해킹 수법의 새로운 단서가 될지 주목된다.22일 KT가

하이트진로, 제주 이호테우해변서 ‘해변 가꾸기’ 환경정화

하이트진로가 '국제 연안 정화의 날'을 맞아 지난 19일 제주 이호테우해변에서 환경정화활동을 펼쳤다고 22일 밝혔다.하이트진로는 2020년 제주 표선해

2027년부터 국내급유 국제선 지속가능항공유 '1% 의무화'

2027년부터 국내에서 급유하는 모든 국제선 여객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 1% 혼합이 의무화된다.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항공업계 탄소중

대기업 취업시장 '활짝'…하반기 2만5000명 채용한다

삼성과 현대차 그리고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하반기 대규모 신규 채용에 나사면서 침체됐던 취업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19일 재계에 따

기후/환경

+

"美 산불 연기로 2050년까지 190만명 사망할 것"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2050년까지 19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美서 '살 파먹는' 박테리아 번성...기후위기 때문이라고?

올해 미국 루이지애나주 해안에서 일명 '살 파먹는' 박테리아로 인해 5명이 사망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박테리아가 번성한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1

붉게 변하는 알래스카 연어 하천…녹고있는 영구동토층이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산맥의 하천이 주황빛으로 변하며 새로운 수질 위기가 드러났다.미국 워싱턴대와 알래스카대 연구진은 9

트럼프는 반친환경 정책 펴지만...美 '기후주간'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

'클라이밋 위크(Climate Week) 2025'가 미국 뉴욕에서 21일(현지시간) 8일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친환경적 정

저수율 52%로 가뭄 벗어났지만...강릉, 투명페트 쓰레기에 '몸살'

강릉은 열흘전만 해도 저수율이 11.5%까지 떨어져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지만 최근 잇달아 내린 비 덕분에 저수율이 52%까지 높아지면서 가뭄에서 벗어났

가뭄 벗어난 강릉...단비에 도암댐 방류덕에 저수율 50.8%

강릉이 드디어 가뭄에서 벗어났다. 몇 일 간격으로 내린 단비에 평창 도암댐 방류까지 시작하면서 저수율이 50%를 넘어섰다.강릉지역 생활용수의 87%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