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도심 '쥐와의 전쟁'...따뜻해진 겨울에 개체수 폭증

손민기 기자 / 기사승인 : 2025-02-03 14:27:44
  • -
  • +
  • 인쇄
▲뉴욕시 공원에 사는 쥐 (사진=연합뉴스)


지구온난화로 인해 겨울철 기온이 상승하면서 세계 곳곳의 도시에서 쥐가 들끓고 있다.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몬드대학의 주연구원 조나단 리처드슨 연구팀은 워싱턴DC, 샌프란시스코, 토론토, 뉴욕시, 암스테르담을 포함한 전세계 16개 도시의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쥐 개체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공공목격 보고와 침입신고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워싱턴DC에서 쥐 개체수가 390%, 샌프란시스코에서 300%, 토론토에서 186%, 뉴욕에서 162%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전세계 다른 도시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연구진은 예상했다.

이번 연구는 전체 쥐 개체수를 정량화하지 않고, 시간에 따른 보고의 상대적 증가만 분석했다. 쥐가 급증한 도시는 토론토와 오클랜드, 버펄로, 시카고, 보스턴, 캔자스시티, 신시내티 등이다. 특히 토론토는 '쥐의 폭풍'이라고 할 정도로 들끓고 있다. 토론토 민원센터에 접수된 쥐와 관련된 전화는 2023년 1600건에 달했다. 이는 2019년 940건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오르킨도 쥐와 관련된 전화문의가 급증했다.

연구진은 쥐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현상은 기온상승과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작은 포유류인 쥐는 추운 겨울에 개체수가 줄어야 하는데 높아진 기온탓에 번식하고 먹이활동까지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뜻해진 겨울 기온은 도시의 모든 종류의 설치류가 계속 번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쥐는 매년 건물에 침입해 수십억달러의 피해를 입히며, 인간에게 최소 60가지 질병을 전파할 수 있고, 도시에 사는 다른 종의 생태에도 영향을 미친다. 침입종인 지역에서는 생물다양성에도 큰 피해를 입힌다. 연구에 따르면, 쥐를 자주 마주치는 사람들은 정신적으로 악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으로 '쥐와의 전쟁'으로 매년 약 5억달러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진은 가장 효과적인 전략으로 "이미 존재하는 쥐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를 가방에 담아 길거리에 두지 않고 용기에 담는 것과 같이 도시환경을 쥐에게 덜 친화적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리처드슨 연구팀은 "실험실 쥐에 대한 수천건의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생 도시 쥐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며 "우리는 우리가 어떤 전쟁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거의 모든 도시가 쥐와의 전쟁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금융, 다문화자녀를 위한 '우리아트스쿨' 참여기관 모집

우리금융이 '2025년 우리아트스쿨'에서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미술교육을 진행할 기관을 모집한다.우리금융그룹의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은 다문화자녀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기후/환경

+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