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비즈니스

thumbimg

美상호관세 유예됐는데...현대차 주가는 왜 오르는 거야?
미국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소식이 전해지면서 52주 신저가를 찍었던 현대자동차 주가가 하루 사이에 급반등하는 등 자동차주가 일제히 상승세를 탔다. 다만 자동차는 품목별 관세가 적용되기 때문에 유예 대상이 아니란 점에서 이같은 상승세는 일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10일...2025-04-10 11:19:48 [조인준]

thumbimg

올해 역대급 '무더위' 예고에...에어컨 판매량 '역대급'
올해 역대급 무더위가 닥칠 것으로 예고되면서 에어컨 판매량이 급증했다.삼성전자는 올 1분기 국내 가정용 일반 에어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특히 3월 한달간 가정용 일반 에어컨 판매량은 전년 대비 61% 증가했고, 스탠드형 에어컨의...2025-04-10 10:21:50 [김나윤]

thumbimg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는 추세이고, 여성 사외이사 비중은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9일 한국ESG평가원은 국내 100대 상장기업 주주...2025-04-09 15:48:06 [조인준]

thumbimg

KCC글라스, 단열성능 높인 주거용 더블로이유리 '빌라즈' 출시
KCC글라스가 프리미엄 주거용 더블로이유리 신제품 '빌라즈(VILAZ)'를 9일 출시했다.더블로이(Double Low-e)유리는 유리 표면에 '은(Ag)' 코팅막을 두 차례 적용해 단열 성능을 높인 고기능성 유리다. 코팅막을 한 차례 적용한 '싱글로이(Single L...2025-04-09 11:55:34 [김나윤]

thumbimg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엄 TV의 대표주자인 2025년형 올레드 TV 신제품에 대해 영국 비영리 인증기관 카본트러스트(Carbon Trust...2025-04-09 10:00:03 [김나윤]

thumbimg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중견기업 2131개사의 2022~2024년 ESG 평가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ESG 경영수준이 ...2025-04-09 09:58:40 [김나윤]

thumbimg

병뚜껑 열면 라벨 제거...개그맨 장동민의 라벨제거 기술 상용화
개그맨 장동민이 뚜껑을 열면 라벨이 자동으로 제거되는 '원터치 라벨제거' 기술을 개발하고 친환경 패키징 사업에 뛰어들었다.이 기술을 특허출원한 장동민이 창업한 친환경 스타트업 '푸른하늘'은 지난 7일 광동제약, 삼양패키징과 함께 '원터치 라벨제거' 기술을 페트병에 적...2025-04-08 16:32:19 [조인준]

thumbimg

관세로 추락했던 암호화폐 낙폭 '진정국면'…비트코인 8만달러 회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폭탄 영향으로 급락했던 암호화폐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전날 7만5000달러선까지 떨어졌던 비트코인은 8만달러선까지 회복하면서 오르락내리락하는 모습이다.글로벌 암호화폐 시세정보 플랫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8일 오전 10시 기준 비트...2025-04-08 10:50:41 [조인준]

thumbimg

반년만에 '역성장 늪' 벗어난 삼성전자...관세리스크가 '복병'
삼성전자가 올 2월 출시한 갤럭시S25에 힘입어 올 1분기 시장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내놓으면서 전일 급락했던 주가는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8일 삼성전자는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올 1분기 매출액이 79조원, 영업이익이 6조6000억원이라는 ...2025-04-08 10:47:22 [조인준]

thumbimg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화한다.SK C&C는 대형 산업현장과 제조공장에 특화된 SHE 관리를 위한 '제...2025-04-08 09:33:11 [김나윤]

thumbimg

[르포] '서울모빌리티쇼' 온종일 북적...미래는 친환경이 대세~
"전시돼 있는 차량은 대부분 전기자동차다. 이제 친환경 자동차가 대세로 굳어진 것같다."전기차 캐즘(수요 정체)·관세 영향 등 불확실성 여파로 올해 '2025 서울모빌리티쇼'가 예년에 비해 규모는 축소됐지만 전시장을 찾는 방문객 열기는 이전보다 더 뜨거웠...2025-04-07 19:16:57 [조인준]

thumbimg

아워홈 용인 공장서 목 끼임 사고..."재발 방지에 총력"
식품 가공업체 아워홈이 지난 4일 발생한 용인 소재 사업장 사고와 관련해 7일 머리를 숙였다.아워홈은 이날 밝힌 경영총괄 사장 명의 입장문에서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와 관련해 재해직원께서 회복하시길 간절히 바란다"며 "가족과 소식을 접한 여러분들께 깊이 사과드린다"...2025-04-07 12:02:54 [김나윤]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기후파괴 앞장선 美...산업시설 탄소배출량 의무보고 폐지

"기후위기는 가짜"라며 반(反)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산업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를 폐지했다. 중국 다음으로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