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삼킨 패션쇼...온라인으로 몰리는 패션 쇼케이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8:46:44
  • -
  • +
  • 인쇄
G마켓과 옥션, 패션 브랜드 쇼케이스 매월 온라인 개최
3D기술 활용 가상 런웨이와 모델 등장하는 '패션쇼'도 개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국내외 패션쇼가 줄줄이 취소되면서 벼랑끝에 내몰린 패션업계가 온라인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다.

가장 발빠르게 움직인 곳은 아르마니다. 당초 밀라노 패션위크에서 패션쇼를 진행할 계획이었던 조르지오 아르마니는 행사 당일인 올 2월 23일 온라인으로 패션쇼를 진행했다. 뒤어어 샤넬이 올 3월 3일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에서 '2020 가을·겨울 여성 기성복 컬렉션' 쇼를 온라인으로 생중계했다.

코로나 팬데믹은 국내 패션계도 덮쳤다. 패션업계는 1년동안 애써 준비한 신상품들을 사장시키지 않기 위해 온라인으로 하나둘씩 이동하기 시작했다. 코로나19 이후 헤지스와 닥스, 휠라, 질스튜어트, 지오다노 등은 G마켓과 옥션을 통해 신상 쇼케이스를 진행했다. 해당 브랜드들은 행사가 진행된 9월 거래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61%나 껑충 뛰는 결과물을 얻었다.

그러자 G마켓과 옥션을 운영하는 이베이코리아는 신상 쇼케이스에서 단독기획상품을 선보이는 등 영역을 좀 더 확장한 쇼케이스를 온라인에서 진행하기로 했다. 아디다스와 에잇세컨즈가 첫 주자다.

8일 이주철 이베이코리아 서플라이 매니지먼트 부문장은 "오는 13일까지 아디다스와 에잇세컨즈 신상품과 단독기획상품을 선보인다"면서 "안방에서 편안하게 브랜드 신상을 구경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온라인 쇼케이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뜨겁다"면서 "차별화된 쇼핑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내년에도 온라인 쇼케이스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이전에도 온라인을 통한 쇼케이스나 패션쇼가 열렸다. 그러나 코로나19 이전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패션업계는 수많은 바이어와 기자들이 모인 가운데 새로운 제품을 패션쇼를 통해 선보이는 것을 오랜 전통으로 여기는 탓이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세계 유수의 패션쇼가 줄줄이 취소되면서 신상을 소개할 통로가 막혀버린 패션업계는 그 대안으로 온라인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그런데 온라인이 패션업계에게 의외의 기회가 되고 있다. 오프라인 패션쇼는 참가자가 제한되지만 온라인 패션쇼는 이런 제한이 없기 때문에 유통망을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다. 무엇보다 온라인 쇼케이스가 구매로 직결되면서 매출이 늘어나는 효과까지 거두자, 패션업계는 '온라인'을 홍보와 유통창구로 적극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모스키노 2021 봄/여름 컬렉션 인형 패션쇼 (사진=유튜브 캡처)

일례로 이탈리아 브랜드 모스키노는 관중도 모델도 없는 온라인 패션쇼를 열었다. 2021년 봄/여름 컬렉션을 출시하면서 관중과 모델을 인형으로 대체한 것이다. 모스키노는 1945년 전쟁 직후 공급부족으로 불가피하게 미니어처 드레스를 제작했던 테아트르 드 라 모드(Théâtre de la Mode) 전시에 착안했다. 테아트르 드 라 모드는 전후 프랑스 패션 산업의 부활을 위해 기획된 순회 전시다. 미니어처 드레스는 실제 사람 1/3 크기의 마네킹에 입혀 유럽과 미국을 순회했다.

그런가하면, 국내 가상패션기업 CLO는 패션쇼 런웨이를 3D 프로그램으로 실사화했다. 터키 브랜드 니야지 에르도간은 이 기술을 빌려 가상현실 패션쇼를 진행하기도 했다. 지난 10월 메르세데스-벤츠 패션위크 이스탄불에서 열린 '니야지 에르도간의 2021 봄/여름 컬렉션 쇼케이스'에서 CLO가 구현한 가상 런웨이 위에서 3D로 제작된 패션모델이 신상품을 입고 워킹하는 모습이 연출됐다.

위기가 때로 혁신의 계기가 된다고 했던가. 팬데믹 상황을 기회의 발판으로 삼아 온라인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꾀하는 패션업계의 귀추가 주목된다.

▲ CLO 3D 런웨이 - 가상패션쇼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기후/환경

+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절약하면 현금 주는데도...'탄소중립포인트' 이용률 고작 29%

국내에서 친환경 소비촉진을 위한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실제 이용률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13일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성인 소비자 32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