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가는 치매 노인...여성 치매 진행 더 빠르다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3-02 11:40:31
  • -
  • +
  • 인쇄
여성이 전반적인 인지능력, 집행기능, 기억력 좋아
단, 인지능력과 집행기능 저하속도는 남성보다 빨라

알츠하이머 치매는 진단되는 시점과 진행 속도가 남녀 간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시간대학 의대 내과 전문의 데버러 레빈 박사 연구팀은 치매 진단은 여성이 남성보다 늦지만 일단 발생하면 진행 속도는 남성보다 빠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971년부터 2017년까지 남녀 2만6088명(남성 1만1775명, 여성 1만4313명)을 대상으로 평균 7.9년에 걸쳐 진행된 5건의 연구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전반적인 인지능력(global cognition)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 △기억력 테스트를 시행했다. 첫 테스트 때 이들 남녀의 평균 연령은 58세였다.

테스트를 분석한 결과 여성은 기본적으로 전반적인 인지능력, 집행기능, 기억력이 남성보다 좋았다. 그러나 전반적인 인지능력과 집행기능이 저하되는 속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빨랐다. 다만 기억력의 저하 속도는 남성과 비슷했다.

연구팀은 이에 "인지 예비능(cognitive reserve)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지만 일단 인지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그 속도가 남성보다 빠르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여성은 인지기능 저하 진단 시기가 늦거나 지연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인지 예비능이란 뇌의 노화를 대비해 평소에는 사용되지 않는 뇌의 대체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해 뇌의 비상 에너지인 것이다.

여성은 뇌의 비상 에너지가 남성보다 많기 때문에 치매 초기의 인지기능 테스트에서는 남성보다 성적이 괜찮게 나올 수 있음을 이 연구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남녀 간 이러한 차이는 성호르몬, 뇌의 구조적 발달, 유전자, 사회심리적 요인(psychosocial factor), 생활 습관, 뇌의 기능적 연결성(functional connectivity), 뇌 병리학(brain pathology)에서 오는 차이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마운트 시나이 알츠하이머병 연구센터의 샘 갠디 박사는 "이유는 어찌 됐든 인지 예비능에는 '절벽'(cognitive reserve cliff)이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논평했다.

이어 "이는 '생리학적 고정점'(physiological set point) 이론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각각의 개인이 지니고 있는 신체 기관은 나름대로 그 기능의 고정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각 신체 기관의 기능은 서서히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보상 메커니즘(compensatory mechanism)에 의해 최적의(optimal) 고정점을 유지하다가 보상 메커니즘이 소진되면 급속하게 곤두박질하게 된다는 것이다.

고정점이란 이를테면 우리 몸이 일정한 체중, 체온, 전해질 농도 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말한다. 항상성(homeostasis)이라고 하기도 한다.

미국 알츠하이머병협회(Alzheimer's Association)의 레베카 에델마이어 연구실장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3분의 2가 여성이라는 점에서 이 연구 결과는 중요한 의미를 지난다"고 논평했다.

그러면서 "따라서 인지기능 테스트는 손상된 기능과 손상되지 않은 기능을 구분할 수 있도록 민감성을 높이고 남녀 간 테스트 평가의 경계선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실렸다.

한편, 2018년 77만여명이던 우리나라 치매 환자는 2020년 86만여명으로, 2년 새 10만명 가까이 늘어났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