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확진자 10만명 넘어…인구대비 비율 일본의 '절반'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3-26 18:53:34
  • -
  • +
  • 인쇄
주요국 대비 양호한 방역 성적표
백신 접종으로 '집단면역' 갖춰야
봄철 이동량 증가 주의
▲전세계 코로나19 현황. 원의 크기와 확진자 수가 비례한다. (출처=BBC)


25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30명으로 이틀 연속 400명대를 기록했다. 이로써 누적확진자는 10만276명으로 지난해 1월20일 국내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1년2개월여 만에 10만명을 넘어섰다.

현재까지 국내 사망자는 1709명, 9만2068명은 완쾌 후 격리 해제, 6499명은 격리중이다.

2019년 12월 처음 코로나19 감염자가 확인된 이후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1월에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2020년 3월에는 이를 팬데믹(세계적 범유행)으로 격상시켰다. 2021년 3월 24일 기준 총 1.2억 명 이상의 확진자와 27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가장 많은 누적 확진자가 발생한 나라는 미국이다. 25일 기준 3000만여명이 발생했다. 미국은 누적 사망자 수 역시 1위로 53만여명에 달한다. 2위는 1200만여명의 확진자와 30만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브라질, 3위는 1170만여명의 확진자와 16만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인도다. 그 뒤로 러시아,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국가가 순위를 이었다.

▲25일 기준 국가별 코로나19 현황 (출처=블룸버그)


도시국가를 제외하면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수는 1만3880명으로 체코가 가장 많았고, 슬로베니아, 이스라엘, 미국이 각각 9971명, 9567명, 8940명으로 순위가 이어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10만명당 확진자 수는 193명에 그쳤다. 일본은 361명이다.

23일 기준 백신을 1회라도 접종 받은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이스라엘(60%)이었다. 그 뒤로 영국이 41.7%, 칠레가 30.8%로 순위를 이었다. 지난달 26일을 기점으로 우리나라는 인구의 1.4%가 백신을 접종했으며, 우리보다 백신접종을 일찍 시작한 일본은 0.5%에 그쳤다.


▲백신접종을 최소 1회 완료한 인구 비율 (출처=아워 월드 인 데이터)


우리나라는 25일 0시 기준 73만3124명이 1회차 접종을 완료했고 2691명이 2회차 접종을 완료했다. 이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는 67만여명, 화이자 백신 접종자는 6만여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신고사례는 총 1만10건으로, 근육통, 두통, 발열 등 경증 사례가 9893건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아낙필락시스 의심 사례 93건, 중증 의심 사례 8건, 사망 신고사례 16건으로 조사가 진행중이다.

지난 18일 한국리서치의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예방접종 의향 조사에서 '접종받겠다' 67.8%, '이미 접종 받았다' 3.2%, '접종 받을 의향이 없다' 12.9%, '잘 모르겠다' 19.1%로 국민 3분의 1이 백신 접종에 대해 적극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누적 확진자 수는 전세계 84위로 주요국 대비 양호하다. 1월 19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래로 세 차례의 대유행을 겪었고 지난해 12월 25일 일일 확진자 수 1240명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최근 들어 연일 400명대를 기록하며 상대적인 하락세에 접어든듯 보인다.

▲우리나라 일일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추이 (출처=아워 월드 인 데이터)


하지만 봄철 따뜻해진 날씨로 인구 이동량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세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렇듯 4차 유행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전문가들은 재확산에 대한 경계감을 늦춰선 안 되며, 국민 개개인이 백신 접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집단면역'을 통해 코로나19를 종식해야 한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