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입는데 남녀 구분할 필요있나요?"...의류업계 부는 성다양성 바람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1-09-08 18:54:28
  • -
  • +
  • 인쇄
의류업계 견고한 벽 부수는 '퓨즈서울'과 '라이킨'
성별과 체형 상관없이 '모두에게 편안한 옷' 추구
몸에 꼭 끼는 여성용 옷들. 겉보기는 이쁘지만 입고 있으면 왠지 불편하다. 이에 비해 남성복들은 품이 넉넉해서 입고 있으면 편하다. 그래서일까. 최근 여성과 남성 구분없는 속옷과 의류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실제로 같은 디자인의 옷이라 할지라도 여성복은 남성복에 비해 몸의 윤곽을 더 드러낸다. 심지어 같은 가격과 종류의 옷인데도 여성복은 남성복에 비해 소재나 마감이 뒤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에 여성에게 더 많은 지출을 강제하는 이른바 '핑크택스' 논란마저 나오고 있다. 여성들 사이에서 "우리는 사탕껍질이 아니라 옷을 입고 싶다"는 말까지 나온다.

이런 현실에서 성다양성을 핵심가치로 걸고 의류업계의 견고한 벽을 부수기 위해 도전장을 낸 기업들이 있다. 


◇ 옷을 통해 사회변화 꿈꾸는 '퓨즈서울'
▲ '퓨즈서울'에서 판매하는 여성·남성 공용 정장(사진=퓨즈서울)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골반이 넓다. 그렇다면 여성용 바지도 남성복에 비해 밑위가 넉넉해야 하지 않을까? 어쩌면 당연한 질문이지만 현실은 달랐다. 여성복에는 라인이 들어가 남성복에 비해 몸이 끼는 편이다. 퓨즈서울 김수정 대표는 "우연히 남동생의 운동복 바지를 입어봤는데 여성운동복과 달리 매우 편해서 놀란 적이 있다"며 "편하게 입으려고 만든 운동복마저 여성용은 소화불량과 여성질환이 걸릴 정도로 매우 불편했다"고 자신의 경험담을 털어놨다. 김 대표는 "이를 계기로 여성도 편안하게 입을 수 있는 브랜드를 만들게 됐다"고 창업계기를 설명했다. 

김 대표는 "사실 옷을 만들 때 남성복을 많이 참고한다"면서 "남성복에는 어떤 장점이 있는지 파악 후 여성복에 그대로 적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판매 후에는 소비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여성복이 기능성보다는 화려함을 추구하는 것이 주 소비층인 여성들이 원해서 그런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이는 여성의류업계의 현실을 모르고 하는 말"이라며 정색했다. 그는 "여성소비자들은 여태껏 제대로 된 편안한 의류를 접해본 적이 거의 없다"며 "그렇기 때문에 현재 입고 있는 여성복들이 편한지 안편한지를 모르는 것"이라고 했다. 김 대표는 "편하다고 소문나면 소비자들이 몰려들어 품귀현상까지 빚어지는 여성복 제품들이 종종 있지만 여전히 크롭티같은 불편한 제품들이 대다수"라고 했다. 게다가 "패션계는 고객의 요구와 상관없이 본인들이 소비자에게 입히고 싶은 옷을 만드는 것같은 느낌"이라고 피력했다.

성다양성을 추구하는 기업답게 '퓨즈서울'은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성에게 요구되는 획일화된 미의 기준를 비판하는 '나 정도면 멋있지' 프로젝트와 성폭력과 불법촬영 피해자들과 연대하는 지하철 광고 '#With You'가 그것이다. 기업 입장에선 이런 이슈참여가 부담스럽지 않느냐는 질문에 김 대표는 "그저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했다"며 "그저 적절한 시점에 그 일을 내가 하는 것일뿐"이라고 답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탈 코르셋'에 대해서도 "탈코르셋을 그저 후줄근한 옷을 입는 것이라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전혀 아니다"며 "슈트 등을 잘 활용하면 여성에게 가해지는 외모 압박을 벗어나면서도 얼마든지 멋있는 옷을 입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편안하면서 기능성 있는 여성복을 더 널리 알리고 싶다고 말하는 김 대표는 "여성소비자들이 더이상 불편한 여성복을 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인 방향"이라고 말했다.


◇ 성별·체형 상관없는 속옷 '라이킨'

▲ 라이킨에서 판매하는 드로즈(사진=라이킨)


여성용 속옷은 기능성보다 디자인을 강조해 실제 착용자들이 편안하게 입고 일상생활을 하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다. 특히 속옷에 대해 지나치게 성적 대상화하고 있어 "여성 속옷은 타인에게 보여주는 옷이 아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계속 나오고 있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신체조건에 상관없이 입을 수 있는 여성속옷이 등장해 주목을 끌고 있다. 바로 '라이킨'이다. 라이킨 관계자는 "디자인만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라 혈액순환 장애, 위생을 고려하지 않은 소재 사용으로 피부습진이나 땀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며 현재 여성용 속옷이 가진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래서 라이킨은 화려함이 아닌 건강과 편안함,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속옷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라이킨 제품은 '여성용' 속옷이 가진 편견을 깨고자 노력하고 있다. 남성 속옷의 대명사로 여겨지던 드로즈를 여성용으로 탈바꿈 시킨 것도 이런 노력의 일환이다. 라이킨 관계자는 "여성은 삼각팬티, 남성은 사각팬티라는 고정관념의 틀을 깨기 위해 여성용 드로즈를 만들었다"면서 "트렁크와 드로즈가 남성용 속옷의 명칭이 아닌 그냥 속옷의 한 종류로 단어의 의미가 축소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속옷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뀌기를 기대한다는 것이다.

또 라이킨은 관계자는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에 초첨을 맞춰 성별이나 신체, 성향에 관계없이 내 몸을 사랑하는 소비자들이 꾸준히 찾을 수 있는 브랜드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현대백화점그룹, 48명 임원인사..."변화보다 안정성에 방점"

현대백화점그룹이 30일 사장 1명, 부사장 2명을 포함해 승진 27명, 전보 21명 등 총 48명에 대한 정기 임원 인사를 2026년 1월 1일부로 단행했다. 인사 폭은

SK AX, 김완종 CCO 사장으로 승진..."AX 이끌 적임자"

SK㈜ AX는 김완종 최고고객책임자(CCO)를 신임 사장으로 승진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국내 산업 전반에서 AX(AI Transformation) 확산이 본격화되고 기업들의

SKT 사령탑 교체...신임 CEO에 정재헌 사장 선임

SK텔레콤은 정재헌 대외협력 사장을 신임 CEO로 선임했다고 30일 발표했다.정재헌 신임CEO는 법조인 출신으로 2020년 법무그룹장으로 SKT에 합류했다. 2021

기후/환경

+

호주 봄날씨 실화냐?...한낮 기온이 46℃ '지글지글'

호주 북부지역이 봄철인 10월에 40℃를 웃도는 폭염을 겪고 있다.호주 기상청(BoM)은 북부 지역인 퀸즐랜드주와 노던 준주의 일부 지역이 올해 가장 더운

폭염에도 실내온도 6℃ '뚝'…호주에서 옥상용 냉각코팅제 개발

폭염에 실내온도를 낮을 수 있는 옥상 코팅기술이 새로 개발됐다.호주 시드니대학교 연구진은 폭염시 실내온도를 최대 6℃까지 낮출 수 있는 옥상용

[주말날씨] 단풍 보러갈 수 있을까...'가을비' 내린 후 쌀쌀

11월 첫 주말은 단풍이 물들며 완연한 가을날씨지만, 곳곳에 비가 내린 후 다시 초겨울 날씨가 오겠다.1일은 전국이 오전까지 대체로 흐리다가 오후부

“기후위기 시대, 아이 낳기 두렵다”…출산 기피하는 美 Z세대

기후위기에 대한 불안이 미국 젊은 세대의 출산 결정까지 흔들고 있다.피유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미시간대 사회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조

1분마다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온난화로 年54.6만명 목숨잃어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인구 가운데 1분에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난화에 따른 영향으로 90년대에 비해 23% 증가한 54만6000명의 전

섬나라 쑥대밭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4일만에 괴물로 변한 이유

카리브해 섬나라들을 쑥대밭으로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Melisa)가 짧은 시간에 역대급 초강력 폭풍우로 발달한 것은 '해양온난화'가 원인으로 꼽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